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소비절벽 못막은 정부, 재정 조기집행 고집

소비절벽 못막은 정부, 재정 조기집행 고집

등록 2016.04.29 14:27

수정 2016.04.29 14:32

현상철

  기자

공유

1분기 소비절벽 현실화···29분기만에 최저치로 떨어져현 정부 들어 ‘세월호 사태’ 이후 첫 소비 뒷걸음질재정조기집행 효과 의문에도 정부 상반기 집행률 상향

소비절벽 못막은 정부, 재정 조기집행 고집 기사의 사진

정부는 1분기에 하반기 재정을 당겨썼지만, 소비절벽을 막지 못했다. 그럼에도 정부는 하반기 재정을 상반기에 미리 쓸 계획이다. 빈틈이 생긴 하반기에는 지방자치단체 추경과 공기업을 동원해 메운다는 방침이다. 재정 조기집행에 대한 효과는 국책연구기관에서조차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부분이다.

29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소비를 알 수 있는 소매판매액지수는 전분기와 비교해 1.1% 감소했다. 이는 2008년 4분기(-3.6%) 이후 29분기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진 것이다.

지난해 4분기 3.1%로 크게 늘었던 소비가 올해 1월 급격하게 쪼그라들었다. 정부의 경기부양효과 이후 급격히 소비가 위축되는 소비절벽이 현실화된 것이다. 메르스 여파가 있던 지난해 2분기도 전분기와 비교해 0.7% 증가했었다.

현 정부 들어서 분기기준 소비지수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세월호 참사가 있었던 2014년 2분기(-0.5%)와 올해 1분기가 유일하다.

앞서 1분기 소비절벽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 정부는 재정 조기집행을 펼쳤다. 당초 목표보다 14조3000억원 이상을 더 지출했지만 소비절벽을 막지 못한 셈이다.

소비절벽은 우리나라 성장률도 끌어내렸다.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기대비 0.4%에 그쳤다. 민간소비가 0.3%나 줄었기 때문이다. 세월호 참사가 있던 2014년 2분기(-0.3%) 이후 가장 크다.

그럼에도 정부는 재정 조기집행 기조를 상반기 내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상반기 재정집행 목표치를 58%에서 59.5%로 올렸다. 당초 계획보다 6조5000억원이 더 풀린다.

국책연구기관은 정부의 재정 조기집행 효과에 물음표를 던지고 있다.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은 기획재정부에 제출한 ‘재정 조기집행의 비용효과 분석’ 보고서에서 “재정 조기집행이 경제에 눈에 띌 정도의 큰 효과가 있다고 보기 어려워 상반기 재정집행률을 높게 설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상반기 재정집행률은 58.1%였지만 총수요 유발효과는 6150억원으로 추정됐다. 당시 GDP의 0.04%포인트를 올리는 효과만 있었던 것이다. 미래 파급효과를 고려한 순편익은 -680억원이었다. 향후 경기에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줬다는 얘기다.

정부 관계자는 “지난해 4분기 때 정부의 소비진작책으로 소비가 크게 늘었고, 올해 1분기는 이에 따른 기저효과였다”고 설명했다.

세종=현상철 기자 hsc329@

뉴스웨이 현상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