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정의화, 선거구획정 특단조치 시사···경제법안 직권상정엔 “NO”

정의화, 선거구획정 특단조치 시사···경제법안 직권상정엔 “NO”

등록 2015.12.16 17:20

이창희

  기자

공유

획정안 연내타결 불발시 ‘심사기일 지정’ 시사“쟁점법안 정체, 국가비상사태로 볼 수 없어”

정의화 국회의장. 사진=뉴스웨이DB정의화 국회의장. 사진=뉴스웨이DB

정의화 국회의장이 여야의 선거구획정안 협상이 연내 타결되지 않을 경우 심사기일 지정을 통한 강제 처리를 시사했다. 동시에 청와대와 여당이 주장하는 경제 법안들의 경우는 직권상정 가능성을 일축했다.

정 의장은 16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선거구획정안과 쟁점 법안들의 처리에 대한 자신의 의중을 밝혔다.

그는 “선거구획정 문제는 올해 연말을 넘기게 되면 심각한 문제가 생긴다는 것을 여러분 모두가 잘 아실 것”이라며 “국민 기본권 중 가장 중요한 것 중에 하나가 참정권인데 선거가 4개월 정도 남은 시점에서 구획점이 정해지지 않은 것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12월31일이 지나면 입법 비상사태라고 지칭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법률전문가들의 의견도 듣고 결정할 일이지만 그때는 의장이 결단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달 중으로 여야가 합의를 이뤄내지 못하면 나중에 일어나는 모든 책임은 국회의장으로서 제가 질 수밖에 없다”며 “연말연시 즈음에 심사기일을 지정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 의장은 경제 법안 처리와 관련해서는 단호한 입장을 나타냈다. 그는 “경제상황이 상당히 어렵다는 데 대해서는 누구보다도 제가 인식을 하고 있다”면서도 “가능한 한 여야가 올해 내로 서로 의견을 접근해서 타협을 이뤄내서 원만하게 의결이 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국회법과 헌법을 직접 가져온 정 의장은 “어디까지나 법에 따라서 할 수밖에 없다”며 “전시·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그러한 국가비상사태의 경우에 심사기일 지정이 가능하다고 돼 있는데 과연 지금 경제상황을 그렇게 볼 수 있느냐 하는 데 대해서는 동의할 수가 없다”고 못박았다.

아울러 “청와대에서 (심사기일 지정을 해 달라는) 메신저가 왔길래 제가 그렇게 할 수 있는 법적인 근거를 좀 찾아봐달라고 오히려 부탁을 했다”며 “안 하는 것이 아니고 법적으로 못하기 때문에 못하는 것이다는 것을 꼭 잘 알아주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창희 기자 allnewone@

관련태그

뉴스웨이 이창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