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정부, 2020년까지 스마트공장 기술력 선진국 수준으로 확보

정부, 2020년까지 스마트공장 기술력 선진국 수준으로 확보

등록 2015.08.19 15:04

김은경

  기자

공유

산업부, 스마트공장 기술개발 로드맵 공개

정부가 오는 2020년까지 국내 스마트공장 기술수준을 선진국 대비 90%로 끌어 올리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서울 중구 LW컨벤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스마트공장 기술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번 로드맵은 중소 제조 기업의 현실에 맞는 스마트공장 기술개발 방향과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디바이스 네트워크 ▲상호운용성 보완 등 4대분야 18개 세부기술로 이뤄졌다.

현재 센서, 사물인터넷(IoT) 등 국내 스마트공장 관련 기술 수준은 해외 기술력 대비 70~80% 수준으로 PLM 등 솔루션은 대부분 글로벌 기업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산업부는 2020년까지 1만개의 스마트공장을 구축한다는 목표로 기술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1단계(2015~2017년)는 스마트화 수준을 기초에서 중간 이상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기술 역량 강화를, 2단계(2018~2020년)는 기업-기업간 연계 운영이 가능한 융복합 기술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매년 개발된 기술을 공장에 구축해 스마트공장 사업과 연계해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산업부는 9월 중 스마트공장 기술개발 로드맵을 확정해 연구개발 사업 기획에 활용할 계획이다.

김은경 기자 cr21@

뉴스웨이 김은경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