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국내연구진, 초소형 반도체 개발 단서 찾아냈다

국내연구진, 초소형 반도체 개발 단서 찾아냈다

등록 2015.08.14 03:00

이승재

  기자

공유

기초과학연구원, 포스포린의 반도체 성질 제어 및 그래핀 수준의 전도성 규명

2차원 반도체 포스포린(보라색)과 그 표면에 흡착된 이종원자 칼륨(푸른색)의 모식도. 자료=미래창조과학부 제공2차원 반도체 포스포린(보라색)과 그 표면에 흡착된 이종원자 칼륨(푸른색)의 모식도. 자료=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국내 연구진이 ‘꿈의 신소재’라 불리는 그래핀의 단점을 극복할 만한 물성을 2차원 반도체 물질인 포스포린에서 찾아냈다. 초소형 전자소자와 광전소자 등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13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연구진은 띠 간격(밴드갭)이 없는 그래핀과 달리 포스포린의 띠 간격을 폭넓게 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즉 전류의 흐름을 자유재로 제어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포스포린은 인 원자로 된 흑린의 표면 몇 개 층을 떼어낸 2차원 물질로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 수준인 0.5㎜ 두께의 박막구조가 특징이다. 또 규칙적인 주름이 잡혀있어 외부압력이나 전기장에 의해 물성제어가 쉬운 것이 장점으로 알려졌다.

그간 그래핀은 철보다 강하고 구리보다 전류가 잘 흐르는 뛰어난 물성 때문에 꿈의 신소재로 각광 받아왔다. 다만 밴드갭이 없는 탓에 전류의 흐름을 통제하기 어려워 차세대 반도체 소자로 활용하는 데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연구진은 포스포린의 표면에 칼륨원자를 흡착시켜 수직방향으로 전기장을 만들었다. 그 결과 포스포린의 전자배치에 영향을 줘 밴드갭의 폭넓은 변화를 주는 데 성공했다.

또 포스포린의 밴드갭이 0에 해당할 시에는 준도체적 상태가 돼 전도성이 그래핀과 비슷한 수준에 이를 수 있음을 밝혔다.

이는 원자 한 겹 두께의 고성능, 초소형 반도체 소자 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실용화를 위해서는 포스포린 트랜지스터를 제작하고 산화를 방지하는 기술개발 등 추가 연구가 필요할 전망이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래부 산하 기초과학연구원 원자제어저차원전자계연구단의 김근수 교수 연구팀이 최형준, 이연진 연세대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수행했다.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권위 과학저널 사이언스(Science)지에 게재될 예정이다.

이승재 기자 russa88@

뉴스웨이 이승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