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서울 5℃

인천 4℃

백령 8℃

춘천 3℃

강릉 5℃

청주 6℃

수원 4℃

안동 3℃

울릉도 12℃

독도 12℃

대전 4℃

전주 5℃

광주 6℃

목포 9℃

여수 12℃

대구 6℃

울산 7℃

창원 8℃

부산 9℃

제주 11℃

임금근로자 4명 중 1명 ‘고용 불안정’···‘질 좋은 일자리’ 절실

임금근로자 4명 중 1명 ‘고용 불안정’···‘질 좋은 일자리’ 절실

등록 2015.08.13 15:55

이승재

  기자

공유

전체 임금근로자 가운데 불안정한 고용형태에 속하는 노동자가 25%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달에 비해 소폭 상승한 고용률 역시 방학을 맞은 학생들의 아르바이트 활동 증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의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OECD 비교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6.3%로 지난해 7월과 비교해 0.3%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3월부터 전년동월대비 고용률 수치는 꾸준한 증가세다.

고용률은 올라가지만 정부가 주장하는 질 좋은 일자리 생산은 더뎌지는 모양새다.

임금근로자 1942만3000명 가운데 임시근로자는 518만8000명(19.7%)이고 일용근로자는 160만8000명(6.1%)으로 나타났다. 임금을 받고 일하는 노동자의 네 명 중 한 명은 질 나쁜 일자리에 속하는 셈이다.

특히 일용근로자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만7000명(3.0%) 상승했다. 이는 근무시간이 36시간 미만인 취업자가 17만4000명 증가한 것과 비슷한 맥락으로 풀이된다.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375만2000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14.3%에 해당하며 전달과 비교해 13만3000명이 늘어났다. 이는 여름방학을 맞은 학생들이 본격적으로 아르바이트를 시작한 데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20~29세 청년층의 고용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0.3%포인트 감소했다.

노동개혁을 통해 질 좋은 일자리 비율을 높여야만 청년고용 절벽 등 고용난을 벗어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지금은 근본적인 구조개혁을 통한 체질 개선이 이뤄져야 할 시기다”며 “고용 측면에서도 인위적으로 일자리를 만드는 정책보다는 성장이 바탕이 된 새로운 수요 창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승재 기자 russa88@

뉴스웨이 이승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