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서울 21℃

인천 20℃

백령 23℃

춘천 19℃

강릉 20℃

청주 20℃

수원 20℃

안동 21℃

울릉도 25℃

독도 25℃

대전 20℃

전주 21℃

광주 23℃

목포 25℃

여수 26℃

대구 26℃

울산 26℃

창원 25℃

부산 25℃

제주 26℃

레버리지 비율 규제 앞두고 증권사는 ‘고민’

레버리지 비율 규제 앞두고 증권사는 ‘고민’

등록 2015.06.23 15:54

수정 2015.06.23 16:35

이선영

  기자

공유

자본 확충하거나 자산 축소 놓고 저울질

증권사들이 레버리지 비율 규제 시행을 앞두고 고민에 빠졌다. 레버지리 비율이 높은 증권사에는 시정조치가 내려질 예정이어서 증권사들은 이 비율을 낮추기 위해 자본을 확충하거나 자산을 축소하는 방침을 놓고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증권사 레버리지 비율 규제가 내년부터 시행된다. 레버리지 비율은 자기자본 대비 부채 비율로 기업의 부채 의존도를 나타낸다.

금융위원회가 지난해 10월 발표한 ‘증권사 건전성 규제체계 개편 후속 조치’에 따르면 레버리지 비율이 1100%이상이거나,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한 증권사의 경우에는 900% 이상이면 경영개선권고가 내려진다.

레버리지 비율이 1300% 이상이거나 2년 연속 적자 증권사의 경우에는 1100% 이상이면 경영개선요구 조치가 내려질 예정이다.

신한금융투자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레버리지 비율이 900%를 상회하는 증권사는 15곳이다. 규제 시행까지 기간이 6개월도 남지 않았고 금융위 역시 비율 완화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확고히 하고 있어 레버리지 비율 낮추기가 시급한 상황이다.

때문에 레버리지 비율이 1000%를 상회하는 증권사들은 자산 축소와 자본 확충 두 가지 방안을 놓고 저울질을 하고 있다.

신한금융투자는 자산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신한금융투자 관계자는 “레버리지 비율을 줄이기 위해서 저수익 자산을 축소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았다”고 설명했다.

하이투자증권은 자본을 확충하는 방안을 골랐다. 지난 11일 하이투자증권은 재무구조 개선과 운영자금 마련을 위해 1200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실시한다고 공시했다.

레버리지 비율 규제 도입에 대비한 유상증자라는 평가가 나온다.

교보증권은 다양한 방안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교보증권 관계자는 “다양한 방안에 대해서 고민은 하고 있으나 아직 구체적인 사항은 나온게 없다”며 “내년 초까지 관련 부서들과 협의를 거쳐 세부사항을 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증권업계에서는 레버리지 비율 규제로 자기자본이 1조원~3조원 사이의 중대형 증권사에 타격이 클 것으로 내다봤다.

손미지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지난 3월말 업계 평균 레버리지 비율은 731%로 지난해 말 633% 대비 100%p 가량 높아졌다”며 “증권사 자산이 빠르게 늘어나는 원인은 ELS(주가연계증권), DLS(파생결합증권), ELB(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 등의 파생결합증권의 판매 증대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손 연구원은 “자기자본 3조원 이상으로 증자를 진행했던 대형사들은 자본 여력이 있기 때문에 자산 성장에 대응할 수 있으며, 중소형사는 파생결합증권 발행 규모가 작아 레버리지 부담이 크지 않다”며 “레버리지 비율 규제 강화에 따른 부담이 가장 큰 곳은 증자는 하지 않았지만 파생결합증권 발행익이 큰 중대형사들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선영 기자 sunzxc@

관련태그

뉴스웨이 이선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