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원유·LPG에 관세 부과···유가하락 반영

원유·LPG에 관세 부과···유가하락 반영

등록 2014.12.23 13:35

김은경

  기자

공유

내년부터 나프타용 원유와 액화석유가스(LPG), LPG 제조용 원유에 대한 할당관세율이 올라간다.

기획재정부는 23일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15년도 탄력관세 운용 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탄력관세제도란는 국내 산업보호 및 물가안정 등을 위해 국회의 위임을 받은 정부가 법률에 규정된 일정 범위 내에서 관세율을 인상하거나 인하하는 제도다.

탄력관세 운용계획에 따르면 내년부터 수입되는 나프타 제조용 원유에 대해서는 할당관세가 기존 0%에서 1%(기본세율 3%)가 부과된다.

LPG와 LPG 제조용 원유에 대해서는 내년 상반기에 할당관세를 0%에서 2%(기본세율 3%)로 상향 조정하고 하반기에 조정 여부를 다시 검토할 계획이다.

최근 국제 유가 하락 추세, 물가 추이를 반영해 할당관세 적용 세율을 조정했다는 게 기재부의 설명이다.

서민층 난방연료인 액화천연가스(LNG)에 대해서는 1∼3월과 10∼12월, 동절기 6개월간 할당관세 2%(기본세율 3%)가 적용된다.

내년에 기본관세율보다 낮은 할당관세가 적용되는 품목은 유장·매니옥 펠리트·겉보리·귀리 등 사료용 품목과 버섯재배용 비트펄프·면실박·새끼 뱀장어 등 영농·양식업 품목, 설탕 등 37개다.

국내 산업보호를 위해 기본관세율보다 높은 세율이 적용되는 조정관세는 찐쌀, 당면, 합판 등 15개 품목에 부과된다.

국내 산업 보호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적은 냉동민어(40→28%), 냉동명태(25→22%), 고추장(45→35%) 등 4개 품목의 조정관세율은 인하된다.

김은경 기자 cr21@

뉴스웨이 김은경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