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백화점·TV홈쇼핑 판매수수료 ‘요지부동’···배짱 장사 여전

백화점·TV홈쇼핑 판매수수료 ‘요지부동’···배짱 장사 여전

등록 2013.12.18 15:16

이주현

  기자

공유

정부가 백화점과 TV홈쇼핑 판매수수료 인하를 유도하고 있지만 판매수수료는 큰 변동이 없으며 홈쇼핑 수수료는 오히려 오른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13년도 백화점 및 TV홈쇼핑사 판매수수료율 분석결과’에 따르면 TV홈쇼핑 전체 평균 판매수수료율은 34.4%에 달했으며 백화점은 28.5%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11년 공정위가 동반성장 유도 차원에서 대형 유통업체들을 전방위로 압박해 판매수수료율을 3∼7%포인트씩 인하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낸 바 있지만 효과가 미미하다는 평가다.

백화점 연도별 판매수수료율 변동 추이 / 자료=공정거래위원회 제공백화점 연도별 판매수수료율 변동 추이 / 자료=공정거래위원회 제공


◇ 백화점 수수료율 소폭 인하

7개 주요 백화점의 올해 평균 판매수수료율은 28.5%로 작년(28.6%)보다 0.1%포인트, 수수료 인하 압박을 본격화한 2011년(29.2%)과 보다 0.7%포인트 내리는데 그쳤다.

백화점별로 보면 롯데(29.5%), 현대(28.6%), 신세계(27.8%) 등 업계 상위 3사는 평균 판매수수료율 28.9%를 보였다.

AK플라자(28.8%), 갤러리아(27.8%), 동아(25.2%), NC(22.8%) 등 나머지 4개사는 평균 26.8%의 수수료율을 나타냈다.

롯데백화점이 29.5%로 수수료율은 가장 높았지만 2011년 30%를 기록한 이래 지난해(29.7%)에 이어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AK플라자는 지난해 29.2%에서 올해 28.8%로 0.4%포인트 떨어졌고 현대백화점은 28.6%로 지난해와 같았지만 2011년(29.6%)보다는 1%포인트 하락했다. 신세계는 27.8%로 지난해(27.9%)보다 0.1%포인트 소폭 하락했다.

반면 동아백화점은 25.2%로 2011년(25.5%)보다는 떨어졌지만 지난해(24.6%)보다는 0.6%포인트 올랐고 NC백화점은 22.8%로 지난해(21.7%)보다 1.1%포인트 상승했다. 갤러리아도 27.8%로 지난해(27.7%)보다 0.1%포인트 올랐다.

중소기업의 평균 판매수수료율은 28.2%로 대기업의 평균 판매수수료율인 29.4% 보다 1.2%포인트 낮았다.

해외명품의 평균 판매수수료율은 22%로 대기업이나 중소기업보다 크게 낮았다.

상품별 평균 판매수수료율은 셔츠·넥타이가 34.9%로 가장 높았고 여성정장(32.3%), 아동·유아용품(31.8%) 순이었다. 반면 디지털기기는 9.8%로 가장 낮았고 대형가전(13.6%)과 도서·음반·악기(15.6%) 순으로 낮았다.

TV홈쇼핑 연도별 판매수수료율 변동 추이 / 자료=공정거래위원회 제공TV홈쇼핑 연도별 판매수수료율 변동 추이 / 자료=공정거래위원회 제공


◇ 홈쇼핑 판매수수료 오히려 상승

한편 6개 TV홈쇼핑 업체의 평균 판매수수료율은 34.4%로 지난해(33.9%)보다 0.3%포인트 올랐다.

업체별로는 올해 GS홈쇼핑의 판매수수료율은 37.9%로 6개 업체 중 가장 높았다. GS홈쇼핑은 2011년에는 34.9%로 다른 업체들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지만 지난해 36.6%로 올린 뒤 올해 37.9%로 뛰었다.

CJO쇼핑도 지난해(35.3%)보다 판매수수료율이 올라 36.7%를 기록, 두번째로 높았다. 현대홈쇼핑은 36.6%로 뒤를 이었지만 지난해(36.8%)보다 0.2%포인트 내렸고, 롯데홈쇼핑도 35.2%로 지난해(35.4%)보다 소폭 인하됐다.

홈앤쇼핑은 31.5%로 지난해와 같았고 농수산홈쇼핑은 28.6%로 지난해(27.9%)보다 0.7%포인트 올랐다.

납품업체의 규모별로 살펴보면 중소 납품업체의 평균 판매수수료율이 34.7%로 대기업 납품업체의 32% 보다 높았다.

롯데홈쇼핑의 경우 대기업의 평균 판매수수료율이 27.8%였지만 중소기업은 35.2%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7.4%포인트)가 가장 컸다.

GS홈쇼핑은 중소기업의 판매수수료율이 38.5%로 가장 높았다. 반면 홈앤쇼핑은 중소기업의 판매수수료율(31.4%)이 대기업(31.8%)보다 낮았다.

상품별로는 남성캐주얼(39.7%)과 여성캐주얼(39.4%), 남성정장(39.0%), 여성정장(38.7%) 등 의류의 판매수수료율이 높았고 여행상품(8.9%)과 디지털기기(21.3%), 대형가전(24.3%)이 낮았다.

공정위는 대형유통업체들이 판매수수료율 수준을 충분히 비교인지한 상태에서 거래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판매수수료율 관련정보를 지속적으로 공개해 나가고, 아울러 입점 및 납품업체가 부담하는 추가비용에 대한 수준도 비교분석해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이주현 기자 jhjh13@

뉴스웨이 이주현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