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21일 목요일

서울 31℃

인천 31℃

백령 28℃

춘천 31℃

강릉 30℃

청주 32℃

수원 31℃

안동 34℃

울릉도 28℃

독도 28℃

대전 34℃

전주 32℃

광주 32℃

목포 31℃

여수 31℃

대구 34℃

울산 30℃

창원 32℃

부산 31℃

제주 27℃

건설산업 쇠퇴기 2020년 이후 본격화

건설산업 쇠퇴기 2020년 이후 본격화

등록 2013.07.21 16:27

김지성

  기자

공유

건설산업이 2020년 이후 쇠퇴기에 진입한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21일 ‘성숙기 산업의 특성·기업 대응전략 고찰과 국내 건설기업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국내 건설산업은 2000년대 성숙기에 진입해 아직 이 단계에 머물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2008년 이후 건설투자 부진은 건설산업의 구조적 변화보다 주택경기 침체로, 주거용 건축투자가 줄어든 탓이지 쇠퇴기에 진입해서는 아니라고 지적했다.

특히 국내 건설투자는 2020년까지 연평균 1∼2%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당분간 성숙기를 유지한다고 예측했다. 국회 예산정책처에선 2016년까지 매년 국내 건설투자가 전년보다 0∼2% 정도 증가율을 보이며 정체양상을 띨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은 성숙기에 있는 건설기업 대응전략으로 시장점유율 보호, 제품수명주기 연장, 시장다변화, 신수종제품 개발, 한계제품 퇴출 등 5가지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홍일 건산연 연구위원은 건설산업이 최근 쇠퇴기에 진입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에 “시장 규모 전망치를 볼 때 앞으로 7년간은 성숙기가 이어질 것”이라며 “신규주택 수요 감소로 아파트 수명주기를 연장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지성 기자 kjs@

뉴스웨이 김지성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