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07일 월요일

  • 서울 25℃

  • 인천 26℃

  • 백령 23℃

  • 춘천 26℃

  • 강릉 30℃

  • 청주 27℃

  • 수원 26℃

  • 안동 25℃

  • 울릉도 28℃

  • 독도 28℃

  • 대전 27℃

  • 전주 27℃

  • 광주 25℃

  • 목포 25℃

  • 여수 27℃

  • 대구 29℃

  • 울산 29℃

  • 창원 28℃

  • 부산 27℃

  • 제주 24℃

FTA 검색결과

[총 280건 검색]

상세검색

정부, 농수산식품 수출산업화 본격 나선다

정부, 농수산식품 수출산업화 본격 나선다

정부가 자유무역협정(FTA)을 활용한 농수산식품 수출산업화에 본격적으로 나선다.산업통상자원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는 26일 ‘자유무역협정(FTA) 활용촉진 지원을 위한 농수산식품 수출업계 간담회’를 가졌다.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농식품분야 FTA 수출활용도는 24.4%, 수산식품은 34.8%로, 제조업은 80%로 집계돼 상대적으로 농수산분야의 FTA 활용률은 낮은 수준이다. 이는 영세업체가 대부분인 농수산식품 업계 특성상 원산지규정에

한-에콰도르 FTA, 협상개시 선언

한-에콰도르 FTA, 협상개시 선언

우리나라와 에콰도르가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개시를 선언했다.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 윤상직 장관이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나탈리 셀리 에콰드르 생산고용조정부 장관, 디에고 아울레스티아 대외무역부 장관과 통상회담을 갖고 ‘한-에콰도르 전략적 경제협력협정(SECA)’ 협상 개시를 공식 선언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4월 수립한 신 자유무역협정(FTA) 추진 전략에 따라 올해 에콰도르와 협상을 개시하기로 하고 대국민 공청회, 국회 보고 등 협

한-아세안 FTA, 전자 원산지증명서 인정

한-아세안 FTA, 전자 원산지증명서 인정

앞으로 한국과 아세안 기업은 수출입 이전에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혜택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전자 원산지증명서도 인정하기로 해 기업불편이 해소될 전망이다.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아세안 10개국 통상장관은 23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한-아세안 경제장관회의에서 이러한 개선 내용을 담은 상품협정 개정의정서에 서명했다. 한-아세안 FTA는 한국이 네 번째로 체결한 FTA로 2007년 6월 발효됐으며, 2013년 6월부터 개정 협

한-에콰도르 FTA, 오는 25일 협상개시 선언

한-에콰도르 FTA, 오는 25일 협상개시 선언

정부가 남미 에콰도르와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개시한다.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 ‘한-에콰도르 통상장관 회담’을 열고 무역협정 협상 개시를 공식 선언할 예정이라고 19일 밝혔다.산업부 관계자는 “양국은 FTA 협상 개시를 위한 국내 절차를 완료했다”며 “내주 통상장관 회담을 통한 협상 개시 선언에 합의하고 공동선언문을 발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회담에는 우리 측에서 윤상직 산업부 장관이, 에콰도르에서는 나탈리 셀리(Nathalie Cely) 생산고

한·중 FTA 최대 수혜 업종은 ‘소비재’

한·중 FTA 최대 수혜 업종은 ‘소비재’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최대 수혜 업종은 소비재 분야라는 분석이 나왔다. 코트라는 21일 ‘한중 FTA 업종별 효과와 활용방향’ 보고서를 내고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한중 FTA 기대효과는 관세철폐 효과만 두드러지던 과거 미국이나 유렵연합(EU)와의 FTA와 사뭇 다르다”고 언급했다. 한중 경제관계 특성상 △관세철폐에 따른 가격경쟁력 향상 △비관세장벽 완화에 따른 시장진출 여건 개선 △국제 분업 활성화에 따른 상생발전 등의 효과가 발생할 것

한-중미 FTA 협상 시작··· 자동차 및 부품·휴대전화 혜택

한-중미 FTA 협상 시작··· 자동차 및 부품·휴대전화 혜택

우리나라와 중미 국가들 간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시작되며 우리 수출기업들의 해외 시장 진출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최종 타결 시 자동차 및 부품, 휴대전화, 건설자재 등에서 관세 혜택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FTA 협상은 18일(현지시각) 미국 휴스턴에서 개시됐으며 과테말라, 니카라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코스타리카, 파나마 등 6개국이 참여한다.코트라(KOTRA)는 최근 발간한 ‘한-중미 FTA 추진과 우리 기업 진출 기회’ 보고서를 통해 자동

한-중미 6개국, FTA 협상 개시···중미 시장 선점 노린다

한-중미 6개국, FTA 협상 개시···중미 시장 선점 노린다

한국과 중남미 6개국(과테말라·엘살바도르·온두라스·니카라과·코스타리카·파나마)간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시작된다. 중미 6개국이 아시아 국가와 체결하는 첫 FTA로 시장 선점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윤상직 장관이 18일(현지시간) 미국 휴스턴에서 중미 6개국과 통상장관회담을 열고 한-중미 FTA 협상 개시를 공식 선언했다고 19일 밝혔다. 우리나라와 중미 6개국은 지난 2012년 10월 코스타리카에서 제1차 한-중미

한중·한베트남·한뉴질랜드 FTA 비준동의안 국회 제출

한중·한베트남·한뉴질랜드 FTA 비준동의안 국회 제출

산업통상자원부는 4일 한중, 한베트남, 한뉴질랜드 자유무역협정(FTA)의 비준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했다고 5일 밝혔다. 산업부 관계자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각 FTA에 대한 영향평가를 시행하고 이해관계자 의견수렴을 거쳐 보완대책을 마련했다”며 “통상절차법에 따라 3개 FTA 비준동의안과 함께 국내 영향평가 결과, 산업 보완대책을 함께 국회에 제출했다”고 말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 6개 연구기관이 FTA 발표에 따른 산업별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한·중 FTA 서명 일지

한·중 FTA 서명 일지

1일 한국과 중국이 자유무역협정(FTA)에 정식 서명했다.다음은 한·중 FTA 추진경과. ▲ 2004.9 = 아세안+3 경제장관 회의 계기로 열린 한·중 통상장관회담서 민간공동연구 합의 ▲ 2005. = 중국 국무원발전연구중심(DRC)과 대외경제연구원 공동연구 수행 ▲ 2006.11 = 민간공동연구 종료 ▲ 2006.11.17 = 한·중 통상장관, 2007년부터 FTA 산관학 공동연구 개시 합의 ▲ 2007.3.22∼23= 한·중 FTA 산관학 공동연구 제1차 회의(베이징) ▲ 2007.7.3.∼4 = 한·중 FTA 산관학

한·중 FTA 정식 서명···12조달러 시장 빗장 열려

한·중 FTA 정식 서명···12조달러 시장 빗장 열려

우리나라와 중국이 자유무역협정(FTA)문에 정식 서명했다. 지난 2012년 5월 협상개시 이후 3년 만이다. 국회 비준동의가 차질없이 이뤄져 올해 발효될 경우 1년차 관세인하가 적용될 전망이다.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서울 중구 하얏트 호텔에서 진행된 ‘한·중 FTA 서명식’에서 윤상직 장관과 가오후청(高虎城, Gao Hucheng) 중국 상무부 부장이 한·중 FTA 협정문에 정식 서명했다고 밝혔다. 한·중 FTA는 상품, 서비스·투자, 정부조달, 지식재산권 등 총 22개 챕터로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