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 서울 17℃

  • 인천 16℃

  • 백령 16℃

  • 춘천 15℃

  • 강릉 13℃

  • 청주 18℃

  • 수원 16℃

  • 안동 15℃

  • 울릉도 15℃

  • 독도 15℃

  • 대전 17℃

  • 전주 18℃

  • 광주 15℃

  • 목포 18℃

  • 여수 19℃

  • 대구 19℃

  • 울산 16℃

  • 창원 18℃

  • 부산 17℃

  • 제주 20℃

월드컵 앞두고 지상파-케이블 ‘분쟁’···방송 중단 사태 우려 심화

월드컵 앞두고 지상파-케이블 ‘분쟁’···방송 중단 사태 우려 심화

등록 2014.06.12 09:04

김아연

  기자

브라질 월드컵 개막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지상파 방송사와 유료방송업계의 월드컵 재전송료 협상이 난항을 겪으면서 월드컵 중계방송 중단 사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 지상파와 유료방송사업자는 지난 2011∼2012년 재전송료 갈등 끝에 총 4번에 걸쳐 방송을 중단했다가 방송통신위원회의 권고나 자체 협상으로 방송을 재개한 바 있다.

11일 방송업계에 따르면 KBS, MBC, SBS 등 지상파 3사와 케이블TV방송사(SO), IPTV, 위성방송(KT스카이라이프) 등 유료방송사들은 월드컵 재전송료를 놓고 물밑 협상을 진행 중이지만 각각의 주장이 첨예하게 엇갈리면서 좀처럼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상파와 케이블의 갈등은 극에 달한 상태로 지상파는 유료방송사와 맺은 재송신 계약에 따라 브라질 월드컵 재전송료를 추가로 받을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케이블은 재전송료의 이중지급이라며 맹렬히 반대 중이다.

먼저 지상파의 주장은 2010년 남아공 월드컵과 2012년 런던올림픽 때도 IPTV 3사로부터 별도의 재전송료를 받은 전례가 있기 때문에 이번 브라질 월드컵에서도 유료방송사들이 일정 금액을 부담해야 한다는 것으로 블랙아웃(방송중단) 사태까지 벌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그러나 케이블TV방송사들은 이 조항이 지상파의 의무를 규정하는 내용일 뿐 재전송료와는 상관없으며 월드컵에 대한 추가 비용 부담은 재전송료의 이중지급이라고 팽팽히 맞서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는 성명을 통해 “오히려 지상파 방송사가 보편적 시청권이 보장돼야 할 월드컵 중계방송을 무기로 이윤을 추구하고 있다”며 “지상파가 시장예측을 제대로 못하고 월드컵 중계권을 비싸게 사왔으면서도 말도 안 되는 논리로 유료방송업계에 그 책임을 전가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케이블업계는 월드컵 중계방송 재송신을 중단할 이유가 전혀 없음은 물론 어떠한 경우에라도 중단되지 않도록 현행 방송법의 의무재송신 제도를 개선해 달라고 지속 건의하고 있다”며 “정부와 국회는 국민들이 추가 부담 없이 지상파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하루빨리 합리적 방향으로 재송신 제도를 개선해 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케이블업계 관계자는 “이미 가입자당 280원의 재전송료를 주고 있는데 큰 스포츠 행사가 있을 때마다 추가로 돈을 지급하라는 건 부당하다”면서 “정부와 국회는 지상파 방송을 안정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합리적으로 재송신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업계 간 협상이 진행 중인 만큼 일단 관망하되 파국 때에는 적극적으로 개입한다는 입장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사적 영역이라 직접적으로 개입할 수 없지만 월드컵이 워낙 국민적인 관심이 많은 국제적인 이벤트라는 점을 고려해 적극적으로 협상에 임하라고 독려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방통위 관계자도 “남아공 월드컵 때는 협상 자체가 이뤄지지 않아 우리가 적극적으로 협상하라며 시정조치도 했지만 지금은 협상이 진행 중이라 뭐라 얘기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만약 협상이 파국으로 치닫는다면 적극적으로 개입해 협상을 끌고 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아연 기자 csdie@

뉴스웨이 김아연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