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 서울 18℃

  • 인천 20℃

  • 백령 17℃

  • 춘천 17℃

  • 강릉 15℃

  • 청주 18℃

  • 수원 18℃

  • 안동 16℃

  • 울릉도 16℃

  • 독도 16℃

  • 대전 16℃

  • 전주 17℃

  • 광주 18℃

  • 목포 17℃

  • 여수 20℃

  • 대구 21℃

  • 울산 19℃

  • 창원 21℃

  • 부산 20℃

  • 제주 21℃

K-조선, 수주 황금기 맞았지만 인력난 '몸살'

K-조선, 수주 황금기 맞았지만 인력난 '몸살'

등록 2022.12.26 14:42

천진영

  기자

국내 조선3사, 2년 연속 수주목표 초과 달성 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 집중 조선업 종사자 7년간 54.5%↓···인력난 고민정부, 취업지원 허브 신설 등 고용서비스 강화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국내 조선 빅3(한국조선해양·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가 연간 수주 목표를 초과 달성하며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다. 수익성이 높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에 집중하면서 실적 개선 기대감도 높다.

그러나 조선업계에 만연한 인력난은 우려스럽다. 건조 경험을 보유한 인력의 숫자가 곧 생산 능력으로 직결되는 만큼, 기술 인력 부족은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정부 차원의 지원 사격이 예고된 가운데 조선업의 구인난 해소에 숨통이 트일지 이목이 쏠린다.

26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조선 3사는 연초 설정한 수주 목표액을 모두 조기 달성했다. 2013년부터 시작된 조선업 장기불황을 8년 만에 벗어나 연간 수주 목표를 넘긴 데 이어 2년 연속 초과 달성에 성공한 것이다.

올해 174억4000만 달러의 연간 수주 목표를 세운 한국조선해양은 목표 대비 137.3%를 달성했다. 총 197척을 수주, 239억5000만 달러의 일감을 확보했다. 특히 고부가가치 선박인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건조 계약을 대거 체결하며 수주 잔고를 채웠다. 2020년과 2021년에도 각각 21척, 26척을 수주하며 LNG운반선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도 44척의 LNG운반선을 수주했다.

대우조선해양은 104억 달러를 수주해 연간 수주 목표액 89억 달러의 117%를 달성했다. 올해 수주한 46척 중 38척을 LNG 운반선으로 채웠다. 이 회사는 작년에도 연간 목표 수주액(77억 달러) 대비 40%를 초과한 108억 달러의 수주고를 올렸다. 삼성중공업은 94억 달러로 목표액(88억 달러) 대비 107%를 달성했다. 올해 누적 49척을 수주했으며, 이 중 LNG 운반선은 36척이다.

LNG 운반선의 수주 호황이 목표 달성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 LNG선 분야에서 독보적 경쟁력을 갖춘 국내 조선사들이 발주 물량을 쓸어오면서 수주 곳간을 채웠다.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LNG운반선 발주는 170척이다. 국내 조선 3사 수주량은 총 118척으로 점유율은 69%에 달한다.

고부가가치 선종 중심의 선별 수주는 실적 회복에 탄력을 붙일 것이란 기대감이 크다. 고부가선 수주가 가능한 대형 조선사들은 이미 국내외 모두 약 3년치 일감에 해당하는 수주잔고를 확보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경쟁자가 소수에 불과한 LNG선 분야는 이미 인도 가능 슬롯이 2026년 상반기까지 채워진 상태로 전해진다.

한영수 삼성증권 연구원은 "현재 수주잔고를 감안하면 2024년부터 한국 조선사들은 매년 LNG선을 생산 능력의 한계까지 건조하게 된다"며 "조선사들이 일반 상선보다 선가가 견고했던 LNG선에서 반복건조효과까지 누리게 된다면, 이들의 수익성은 생각보다 빠르게 개선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나 쏟아지는 일감에도 조선업 장기 불황에 따른 인력 부족 문제는 고민거리다.

실제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에 따르면 국내 조선업 종사자 수는 2014년 말 20만3441명에서 올해 7월 기준 9만2394명으로 54.5% 감소했다. 같은 기간 설계·연구인력, 생산인력은 각각 6645명(46.9%), 9만8003명(58.3%) 줄었다.

조선사들의 생산 능력은 건조 경험을 보유한 인력의 숫자로 결정된다. 문제는 신규 인력이 숙련공이 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이다. 선박 건조 전 과정을 경험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최소 1년이다. 이 때문에 신규 인력이 숙련공으로 성장하기까지 걸리는 기간은 더욱 길 수밖에 없다.

한 연구원은 "장기 조선 업황을 판단함에 있어 현재의 수주잔고보다 더 중요한 부분은 조선사들의 공급 능력"이라며 "전 세계 선박 수주잔고가 2년 연속 증가한 것은 선박 발주가 증가한 동시에 조선사들의 건조량이 낮은 수준에 머물렀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이어 "전 세계 선박 건조량은 직전 고점 대비 약 47% 감소했는데, 실제 조선사들의 건조능력도 유사한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최근 정부는 조선업 구인난 해결을 위해 조선업 취업지원 허브 신설 등 고용서비스를 강화하고,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총 200억원 규모의 '조선업 구인난 특화사업'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고용부는 조선업 인력 문제가 심각하다고 판단한 만큼 거제시를 내년 말까지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했다.

뉴스웨이 천진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