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1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LCC 4사, 상반기 누적적자 3218억원···여객 회복세에도 경영난 여전

LCC 4사, 상반기 누적적자 3218억원···여객 회복세에도 경영난 여전

등록 2022.08.16 18:48

이세정

  기자

공유

매출 두자릿수 성장, 방역완화 효과영업손실, 전년 대비 1225억원 축소고환율에 고유가 악재, 흑자전환 못해국제선 회복 효과↓, 하반기 전망 부정적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국내 상장 저비용항공사(LCC) 4곳의 상반기 총 영업적자가 3000억원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반기 마이너스(-) 4443억원보다 개선된 수치지만, 여전히 영업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16일 제주항공과 진에어, 티웨이항공, 에어부산이 제출한 각사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4사의 2분기 영업손실 총합은 1213억원이다. 상반기 누적은 총 3218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2분기(-2041억원)와 비교할 때 적자 규모는 828억원 축소됐고, 반기 적자는 1225억원 줄었다.

우선 제주항공은 지난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262억원, 영업손실 557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68% 증가했고, 적자폭은 155억원 가량 축소됐다. 당기순손실은 소폭 늘어난 563억원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누적 기준으로는 매출 2074억원, 영업손실 1346억원, 순손실 1222억원을 기록했다.

진에어는 2분기 매출 1264억원, 영업손실 151억원을 낸 것으로 파악됐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99% 성장했고, 적자는 337억원 가량 줄었다. 특히 순손실은 절반 가까이 감소한 287억원이다. 상반기 기준 매출과 영업손실은 각각 1939억원, 614억원으로 나타났다.

티웨이항공의 경우 연결기준 매출은 65% 증가한 937억원을, 영업손실은 52억원 가량 축소된 295억원을 기록했다. 누계 기준 매출과 영업적자는 각각 1534억원, 685억원으로 나타났다. 에어부산도 매출은 72% 확대된 840억원을 달성했고 영업손실은 284억원 줄어든 210억원으로 확인됐다. 누적 매출과 영업적자는 1348억원, 573억원으로 파악됐다.

이들 업체 가운데 실적 회복세가 두드러지는 곳은 진에어다. 4사 모두 두 자릿수의 매출 신장을 일궜지만, 진에어는 가장 높은 매출을 올린 동시에 가장 적은 손실을 냈다.

LCC 매출이 성장한 배경에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방역 완화와 입국자 검역 조치 완화 등 여행 심리 회복이 주효했다. 적자폭은 크게 줄었지만, 고유가와 환율 상승 등의 여파로 흑자전환에 실패했다는 해석이다.

업계에서는 하반기 전망도 불투명하다고 우려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과 고환율, 인플레이션 등 여러가지 악재가 존재한다는 이유에서다. 또 LCC들이 단거리 노선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만큼, 장거리 노선 위주의 대형항공사(FSC)보다 국제선 회복 효과가 더디다는 점도 실적 개선을 방해하는 요소다. 동남아 등 취항 노선이 한정돼 있어 공급과잉에 따른 출혈경쟁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한편 2분기 말 기준 제주항공 부채비율은 864%로, 1분기 925%에서 축소됐다. 진에어는 300%에서 441%로 늘었고, 에어부산은 자본잠식 상태가 지속됐다. 티웨이항공은 7350%에서 963%로 대폭 줄었다.

뉴스웨이 이세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