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19일 일요일

  • 서울 21℃

  • 인천 23℃

  • 백령 18℃

  • 춘천 20℃

  • 강릉 27℃

  • 청주 23℃

  • 수원 22℃

  • 안동 22℃

  • 울릉도 19℃

  • 독도 19℃

  • 대전 23℃

  • 전주 23℃

  • 광주 22℃

  • 목포 22℃

  • 여수 22℃

  • 대구 25℃

  • 울산 24℃

  • 창원 25℃

  • 부산 26℃

  • 제주 25℃

한진해운 법정관리..선장 없는 현대상선 ‘위기의 韓 해운업’

한진해운 법정관리..선장 없는 현대상선 ‘위기의 韓 해운업’

등록 2016.09.21 16:36

수정 2016.09.21 22:12

임주희

  기자

한진해운 발 물류대란 책임 벌이는 동안머스크·MSC 등 해외 선사 알짜 노선 빼가현대상선 적자 상황에서..미주·구주 선박 지원 등 부담

사진=최신혜 기자사진=최신혜 기자

한국 해운업이 해운전문가 부재로 위기 상황에 처했다. 우리나라 양대 국적 해운사 중 하나이자 세계 7위인 한진해운은 구조조정에서 살아남지 못해 결국 법정관리 행을 선택했다.

구조조정에 성공한 세계 15위의 현대상선은 올 상반기 약 4300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하는 등 실적 악화를 겪고 있다. 여기에 현대상선은 한진해운 발 물류대란에 선박을 지원해야 하는 등의 부담도 적지 않다.

새로운 선장의 빠른 현장 지휘가 필요하지만 유창근 현대상선 대표이사 내정자는 공직자윤리위원회에서 심의하는 퇴직공직자 취업 제한 심사를 받아야 대표이사로 선임될 수 있는 상황이다.

20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한진해운 발 물류대란 책임을 정부와 금융권, 한진그룹이 떠넘기는 사이 주요 네트워크와 노선은 머스크와 MSC 등 대형 선사에게 빼앗겼다. 국가 신인도도 급격하게 하락했다. 선박 운임이 다시 오르고 있지만 국내 해운업계 관계자들은 우리나라 해운업은 이미 좌초된 상황.

해운업계가 우려한 상황인 한진해운 발 물류대란 장기화는 업친데 겹친격. 정부와 산업은행 등 한진해운 채권단은 한진그룹과 한진해운 대주주인 대한항공에 문제를 해결하라며 독촉하는 모양새다. 지난 19일 금감원이 은행권에 한진그룹 계열사에 대한 여신 현황 파악 등을 요구하며 한진그룹에 대한 대한항공 지원을 압박하고 있다.

한진해운 법정관리 개시 이후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과 대한항공은 총 1000억원을 한진해운에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으나 조 회장의 400억원 외에 추가 지원은 모호한 상황이다. 대한항공 이사회는 지난 10일 한진해운의 담보를 선 취득한 후 자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기했지만 현실화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지난 18일 긴급 이사회를 소집했지만 대안을 마련하지 못한 채 정회했다. 20일 현재까지도 이사회는 대안을 찾지 못해 이사회를 다시 열지 못하고 있다.

대한항공 이사회가 선뜻 한진해운 지원을 결정하지 못하는 이유는 배임 논란 때문이다. 한진해운에 대한 자금 융통을 할 경우 향후 배임죄가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

재계 관계자는 “대한항공에 지원 압박을 하기 보다는 배임 면책권을 준다면 이사회가 좀 더 수월하게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운업계에선 한진해운 발 물류대란이 장기화 될 경우 한진해운 회생 가능성도 낮아진다고 분석했다. 결국 한진해운이 보유했던 구주, 미주 노선과 네트워크는 외국 대형선사에 뺏긴 채 근해선사의 역할만 할 것이라 우려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유일한 국적 해운사인 현대상선은 물류피해 최소화를 위해 미주와 구주 노선에 선박을 지원해야 하는 상황이다.

또한 현대상선은 최고경영자가 바뀌는 변화를 앞두고 있다. 앞서 현대상선은 20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유 내정자를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유 내정자가 취업심사 대상자라 공직자윤리위원회의 취업 승인 혹은 취업제한여부 확인을 한 후 공식적으로 취임할 수 있기 때문에 임시 주총 일정을 29일로 연기했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정부와 금융권에 해운업 전무가 부재로 인해 양대 국적 해운사가 모두 어려움에 처했다”며 “외국 선사는 자국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성장하는데 한국 해운업은 수십년 전으로 퇴보했다. 한국 해운업이 다시 살아날 수 있을 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임주희 기자 ljh@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