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14일 금요일

  • 서울 23℃

  • 인천 19℃

  • 백령 18℃

  • 춘천 21℃

  • 강릉 20℃

  • 청주 22℃

  • 수원 20℃

  • 안동 22℃

  • 울릉도 21℃

  • 독도 21℃

  • 대전 22℃

  • 전주 22℃

  • 광주 20℃

  • 목포 21℃

  • 여수 21℃

  • 대구 24℃

  • 울산 21℃

  • 창원 22℃

  • 부산 21℃

  • 제주 21℃

이슈플러스 올해 1분기 500대 대기업 영업이익 57.1% 급증

이슈플러스 일반

올해 1분기 500대 대기업 영업이익 57.1% 급증

등록 2024.05.17 09:40

안민

  기자

올해 1분기 500대 대기업 영업이익 57.1% 급증 기사의 사진

올해 1분기 국내 500대 기업의 영업이익이 지난해 동기 대비 57.1%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전날까지 분기보고서를 제출한 334곳을 대상으로 올해 1분기 실적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영업이익은 50조5천61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32조1천749억원)와 비교해 57.1% 급증한 수준이다.

이들 기업의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0.5% 증가한 772조7천862억원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 보면 전체 19개 업종 중 11개 업종에서 영업이익이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 업황 개선으로 IT전기전자 업종의 영업이익 증가 폭이 가장 컸다. IT전기전자 부문은 지난해 1분기 8천666억원 영업적자에서 올해 1분기 11조4천302억원으로 흑자 전환하며 대기업 전체의 성장세를 견인했다.

인공지능(AI) 열풍에 힘입어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반도체 수출이 급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공기업 실적도 크게 개선됐다. 지난해 1분기 5조3천253억원의 영업 적자를 기록했던 공기업은 올해 2조5천934억원 흑자로 전환했다. 지난해 세 차례에 걸친 전기료 인상으로 한국전력 등의 수익성이 대폭 확대됐고, 한국가스공사와 지역난방공사 등 주요 공기업도 재무 건전성 제고에 주력하면서 실적이 개선됐다.

자동차·부품은 작년에 이어 올해 1분기에도 성장세를 이어갔다. 자동차·부품의 1분기 영업이익은 8조9천31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9% 증가했다.

반면 석유화학과 철강 등은 부진을 면치 못했다.

석유화학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2조4천2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6.7% 급감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중동 분쟁이 확산하면서 유가가 급등하고 중국발 수요 둔화까지 더해져 수익성이 크게 줄었다.

건설경기 악화와 완성차 수요 위축 등 전방 산업 업황 부진의 직격탄을 맞은 철강 업종도 지난해 1분기 영업이익 1조1천136억원에서 올해 1분기 7천505억원으로, 32.6% 감소했다.

기업별로는 한전의 영업이익이 가장 크게 늘었다. 1분기 한전의 영업익은 1조2천993억원으로, 전년 동기(-6조1천776억원) 대비 흑자 전환했다.

지난해 1분기 3조4천23억원의 적자를 냈던 SK하이닉스도 올해 1분기 2조8천860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삼성전자의 1분기 영업이익은 6조6천60억원으로, 전년 동기(6천402억원)와 비교해 931.9% 확대됐다.

이어 LG디스플레이(적자 축소), 기아(19.2%↑), 가스공사(56.6%↑), 지역난방공사(흑자 전환) 등의 영업이익도 2천억원 이상 증가했다.

반면 영업이익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기업은 한화였다. 한화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2천358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3천738억원) 대비 82.8% 감소했다.

이어 LG화학(66.5%↓), SK(45.9%↓), 한화솔루션(적자 전환), LG에너지솔루션(75.2%↓) 등의 순이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