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17일 금요일

  • 서울 11℃

  • 인천 11℃

  • 백령 12℃

  • 춘천 6℃

  • 강릉 12℃

  • 청주 13℃

  • 수원 11℃

  • 안동 8℃

  • 울릉도 13℃

  • 독도 13℃

  • 대전 14℃

  • 전주 13℃

  • 광주 11℃

  • 목포 14℃

  • 여수 15℃

  • 대구 11℃

  • 울산 10℃

  • 창원 14℃

  • 부산 15℃

  • 제주 16℃

박근혜 정부도 답습···가장 큰 피해자는 ‘식음료업계’

[MB의 부메랑]박근혜 정부도 답습···가장 큰 피해자는 ‘식음료업계’

등록 2013.11.04 08:47

김아름

  기자

최근 식음료업계의 가격인상이 봇물 터지듯 터지면서 소비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 MB정부에서 행하던 ‘팔비틀기 식’ 식탁물가억제 정책으로 인한 후유증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정부가 바뀌어도 억제정책은 그대로···인상 번복 재현=MB정부시절 비난 받았던 가격인상 시기 연장과 철회 종용 등 이른바 ‘MB식 물가 때려잡기’로 인해 쉽게 가격을 올리지 못하고 있는 식음료업계들은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억지로 짓누르던 가격인상이 터지게 되면 자칫 통제불능이 될 수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우려다. 현 정부가 정권초기에 MB정부의 물가정책의 고삐를 쥐고 있었지만 업체들의 잇단 실적 악화에 결국은 터질 것이 터졌다는 분위기다.

실제로 정부의 억제정책에 눈치만 보던 동원F&B가 우윳값 인상 연기를 발표한지 하루도 되지않아 7.5% 가량 인상하겠다고 나서 논란이 된 바 있다. 동원F&B 관계자는 “가공유 가격 인상은 원유가 인상과 무관하게 이미 계획된 일”이라며 “흰우유 가격 인상 시점에 맞춰 가격을 올리기 위해 그간 인상 시기를 늦춰 온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식탁물가억제정책에 식음료업계 “우리도 할 말 있다”=최근 우유업체들이 도미노처럼 우윳값을 인상했다. 이로 인해 관련 제품들의 가격 인상이 줄을 잇고 있다. 지난 MB정부시절의 식탁물가억제정책에 2011년에 이어 올해도 가격인상에 관한 압박을 받은 우유업체들이 사실상 반기를 들고 나선 것.

문제점은 우윳값 인상만이 아니다. 우윳값 인상은 식탁물가 인상의 시작에 불과 한다는 점이다. 우유가 주원료인 유제품은 물론이고 라면을 비롯한 여러 서민식품들의 물가도 덩달아 오를 조짐이 보이기 때문이다. 이미 우유가 포함된 제과는 가격이 인상됐다.

지난 21일, 매일유업의 커피전문점인 ‘폴 바셋’의 커피가격 인상이 계속 미뤄지다가 결국 감행되는 것과 같이 빵이나 치즈·발효유와 같은 제품에는 가격 인상에 이미 빨간불이 들어온 상태다. 이들 제품의 가격 인상 우려는 그에 따라 점점 커지고 있는 것이다.

이런 물가단속 정책에 식음료업계에서는 볼멘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식탁물가 안정을 위한 조치라는 정부의 일방적인 선언은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이냐는 지적이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식음료 업체는 물가인상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원재료값은 올라가는데 소비자물가에 반영하지 못하니 업체들은 실적부분에서 내부적으로 감내 해야한다”며 “업체마다 다르겠지만 지난 MB정부때부터 실적과 수익 성장폭이 2~3%대로 제자리걸음 중”이라고 말했다.

◇결국 가격인상 했더니···부메랑이 되어 돌아온 서민경제=인상요인이 있어도 정부의 가격억제 정책으로 인상하지 못했던 제조업계는 답답하다. 식음료업체들은 영업이익률이 2~4%에 불과할 정도로 낮아 인상을 하지 못하면 당장 어려워진다고 주장한다.

업계 관계자는 “새 정부로 들어서도 집권초에는 가격을 못올린다”며 “경제민주화라고 해서 더 몸을 사리고 참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업체들은 여론의 비난에 밀려 가격인상을 철회한 경우도 있을 정도로 식탁물가인상은 매우 어렵다.

또한 이 관계자는 “먹거리가 생활필수품이 되니 가격에 민감한 건 사실”이라면서 “하지만 물가인상 억제정책으로 기업실적이 감소하면 결국 기업의 인력 구조조정이나 임금동결과 같은 부작용이 이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하소연 했다.

MB정부 말인 지난 1,2월 식음료 업체들이 일제히 가격을 올린 적이 있다. 또한 매년 연말, 가격인상이 높은 것도 업계의 관행처럼 돼 있다. 이때 너도나도 가격인상대열에 동참하게 되면 분산해서 인상할 때보다 소비자의 부담이 커질 수가 있다.

한 소비자는 “요즘 공공요금이나 택시요금 등 내 월급만 빼고 전부 오르는 느낌이다”며 “특히 음식을 먹을 때면 금덩어리를 씹는 기분이 들 정도로 식탁물가가 한번에 많이 오른 기분이라서 장보기가 두려울 정도다”라고 지적했다.

국내 소비자 물가는 특정 산업분야의 잘잘못을 떠나 정책에 크게 좌우된다. 이제는 정부도 빠른 성과만 바라보며 식탁물가 억제정책을 시행하는 것 보다 구조적인 측면에서 좀 더 꼼꼼히 살핀 뒤 물가 안정 문제에 접근해야 할 것이다.

김아름 기자 beautyk@

뉴스웨이 김아름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