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07일 화요일

  • 서울 12℃

  • 인천 12℃

  • 백령 10℃

  • 춘천 12℃

  • 강릉 11℃

  • 청주 13℃

  • 수원 12℃

  • 안동 14℃

  • 울릉도 14℃

  • 독도 14℃

  • 대전 13℃

  • 전주 14℃

  • 광주 15℃

  • 목포 15℃

  • 여수 15℃

  • 대구 15℃

  • 울산 16℃

  • 창원 16℃

  • 부산 16℃

  • 제주 14℃

부동산 "건설업계 40%가 잠재적 부실기업···내년 이후 부실 본격화"

부동산 부동산일반

"건설업계 40%가 잠재적 부실기업···내년 이후 부실 본격화"

등록 2023.11.28 08:56

류소현

  기자

전체 건설업의 41.6%가 정상적 채무 상환 어려워한계기업 비중 역시 3년 연속 1%포인트 넘게 상승고금리·건설원가 상승에 부실 진행 중···대응 필요해

건설업계의 채무 상환 능력에 빨간불이 들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자보상배율을 기준으로 분류되는 '잠재적 부실기업'이 40%가 넘어섰고 부도 위험이 큰 한계기업도 증가세를 보였다. 내년 이후 건설업체의 전반적인 부실은 본격화될 것이며 대응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한계기업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건설기업(이하 모두 외감기업 기준)이 전체 건설업의 41.6%(929곳)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채무 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영업이익을 금융비용(이자비용)으로 나눠 산출한다.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은 영업이익보다 이자비용이 많아 정상적 채무 상환이 어려운 잠재적 부실 상태로 진단되며, 한국은행은 이러한 기업을 '취약기업'으로 분류한다.

이 배율이 1 미만인 건설기업, 즉 잠재적 부실기업은 2018년 32.3%(642곳)에서 매년 상승해 4년 만에 10%포인트 가까이 올랐다.

지난해 건설업계의 이자보상배율 1 미만 기업 비중은 전체 산업 평균인 36.4%보다 컸다.

한계기업의 비중도 늘어났다. 한국은행 등은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 미만일 경우 '한계기업'으로 간주하는데, 이 기준에 따르면 지난해 한계기업에 해당하는 건설기업은 387곳(18.7%)이었다.

건설기업 가운데 한계기업의 비중은 2020년 15.8%(305곳), 2021년 17.3%(349곳)로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국내 건설업계의 이자보상배율은 4.1배로 집계됐다. 2018년 6.8배에서 2019년 5.6배로 하락한 후 오름세를 지속해 2021년 6.4배까지 회복했으나, 지난해 급락하면서 최근 5년간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전체 산업의 이자보상배율이 5.1배인 것을 고려하면 건설업계의 채무 상환 능력은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은 큰 변화가 없었지만, 중소기업은 급증세를 보였다.

한계기업에 해당하는 건설 대기업은 2020년 46곳에서 2021년 47곳, 지난해에는 54곳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중소기업의 경우 2020년 259곳에서 2021년 302곳, 지난해에는 333곳으로 매년 큰 폭 증가했다.

아울러 지난해 건설업계의 부채비율은 144.6%로 전년(133.5%)보다 11%포인트 넘게 상승했다. 2018년 132.8%였던 부채비율은 2019∼2020년 120%대로 떨어졌으나, 지난해에는 최근 5년간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지난해 건설업계의 평균 매출액은 1107억원으로 전년 대비 15.4% 증가했다. 그러나 영업이익률은 전년보다 1.5%포인트 하락한 4.5%를 기록했다. 순이익률 역시 2021년 4.9%에서 지난해 3.6%로 하락해 전반적인 수익성이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건설기업들은 코로나19 시기 저금리 기조에 따라 투자와 부채를 늘려왔는데, 지난해부터 이어진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과 고금리 장기화로 이자비용이 급증하면서 전반적인 부실 위험이 커졌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건설 자재비가 지속해서 상승한 것도 수익성을 악화시켰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고금리 기조가 계속되고 있고 건설 원가 역시 높은 상태로 올해 건설업의 부실은 더욱 악화할 것"이라며 "건설 경기의 반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내년 이후 건설업체의 전반적인 부실은 본격화될 것이므로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그는 "이미 상당히 진행된 공사들이 중단되지 않도록 건설업계의 유동성 공급을 현실화하고 부실기업들에 대한 선제적인 구조조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며 "정상적으로 영업하고 있는 전문 ·중소 건설업체들의 연쇄 부도 및 흑자도산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정한 생태계 관리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