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2일 수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한진家 장녀 조현아, 자연인 됐다···한진칼 주식 일부 팔아 현금화

한진家 장녀 조현아, 자연인 됐다···한진칼 주식 일부 팔아 현금화

등록 2021.11.17 13:59

이세정

  기자

공유

3자연합 와해 이후 주식 팔아 현금화지분 5% 미만 이후 움직임 파악 불가9월 700억 상당 추가 처분, 지분율 2.8%상속세 일시납 가능 규모, 추가매도 가능성경영복귀 여지 전무 인지···지주사 주식가치 ↓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 그래픽=박혜수 기자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 그래픽=박혜수 기자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이 최근 한진칼 주식을 정리해 700억원 가량을 현금화했다. 고(故) 조양호 선대회장 별세 이후 할당된 상속세를 일시완납할 수 있는 규모다. 조 전 부사장이 지주사 지분을 대폭 처분한 것은 더이상 경영권에 관여하지 않고, 완전한 자연인이 되겠다는 의미라는 해석이 나온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9월 30일 기준 조 전 부사장이 보유한 한진칼 지분율(보통주)은 2.81%다. 지난해 말 5.79%과 비교할 때 3%포인트(p) 가까이 줄어든 수치다.

조 전 부사장은 지난해 1월 외부세력인 사모펀드 KCGI, 반도건설과 ‘반(反)조원태’ 연합전선을 구축하고, 경영권 분쟁을 벌여왔다. 하지만 3자연합은 그해 말 산업은행이 한진칼 주요 주주로 등판하면서 분쟁 동력을 상실했고, 3월 주주총회가 끝난 직후 동맹을 깨버렸다.

홀로 남은 조 전 부사장은 한진칼 주식을 조금씩 매도하며 유동성을 확보해 왔다. 공식 수입원이 없는 탓에 사실상 지분 매각 외엔 현금을 마련할 대안이 없었다.

우선 한진칼 주식 0.08%에 해당하는 5만5000주를 KCGI에 넘겼다. 당시 시세보다 높은 가격에 처분했고, 조 전 부사장은 약 34억원을 확보했다.

이후 조 전 부사장의 지분 정리에는 속도가 붙게 된다. 4월 19일부터 30일까지 15만7500주를 장내매도해 87억여원을, 5월 10일부터 9월 7일까지 63만7133주를 처분해 465억원을 마련했다. 지분율이 4.44%로 낮아지면서, 조 전 부사장은 ‘5% 지분 의무 공시’ 대상에서도 제외됐다.

조 전 부사장은 9월 중순부터 말까지 추가로 111만주를 팔았다. 이 기간 한진칼 평균 주가는 6만2736억원으로, 대입하면 총 696억원 규모로 계산된다.

특히 조 전 부사장 지분율이 기존 담보대출로 제공된 지분율보다 낮아진 점으로 미뤄볼 때, 앞서 주식을 판 돈으로 기존 담보대출을 갚아 근질권을 해지했을 것으로 파악된다.

9월 14일 기준 조 전 부사장은 지분 3.17%에 근질권이 잡혀있었다. 이 중 1.77%는 연부연납 담보이고, 나머지 5건은 개인 담보대출이었다.

올 들어 조 전 부사장이 한진칼 주식을 팔아 마련한 현금만 1300억원에 달한다. 대출 상환금을 고려하더라도, 1000억원대 안팎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어 상속세 납부에 대한 부담을 완전히 덜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진그룹 오너가 4인이 조 선대회장의 계열사 지분과 재산 상속으로 납부해야 할 세금 규모는 총 2600억원대다. 2023년까지 6회에 걸쳐 나눠내는 연부연납 제도를 신청했지만, 1인당 약 650억원씩 부담해야 한다. 매년 100억원 이상을 조달해야 한다.

조 전 부사장이 한진칼 주식을 추가로 정리할 가능성도 열려있는 만큼, 지분율은 더욱 낮아질 수 있다. 그가 현재 보유한 187만8076주에 전날 종가(5만7600원)을 대입하면 1082억원 상당이다.

재계에서는 조 전 부사장이 한진칼 주식을 과감하게 처분한 것을 두고 스스로 경영 복귀 여지가 없다는 점을 충분히 인지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대한항공 등 다른 계열사 지분은 건들지 않고, 경영권 핵심인 지주사 지분을 정리했다는 점은 이 같은 주장에 무게를 더한다.

산업은행을 조원태 회장 우호지분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우세한 만큼, 조 회장 측 진영은 47%의 지분율을 확보하고 있다. 반면 KCGI와 반도건설은 36%대(신주인수권 포함)로, 두 세력간 지분율 격차는 10%포인트대다. 더욱이 KCGI와 반도건설이 산은과 업무협약(MOU)을 맺고 경영 안정을 위해 적극 협조하겠다고 한 만큼, 반격에 나설 가능성은 사실상 전무하다.

재계 한 관계자는 “오너일가는 상속세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비상장사 주식 처분 등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 공동으로 움직이고 있지만, 조 전 부사장은 제외됐다”며 “경영권 분쟁이 종식된 상황에서 한진칼 주식의 효용가치가 높지 않다고 판단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세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