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04일 토요일

  • 서울 24℃

  • 인천 24℃

  • 백령 18℃

  • 춘천 24℃

  • 강릉 26℃

  • 청주 23℃

  • 수원 24℃

  • 안동 22℃

  • 울릉도 17℃

  • 독도 17℃

  • 대전 24℃

  • 전주 25℃

  • 광주 23℃

  • 목포 23℃

  • 여수 21℃

  • 대구 23℃

  • 울산 23℃

  • 창원 23℃

  • 부산 23℃

  • 제주 21℃

대기업 절반 “근로시간 단축, 전반적인 경영실적에 부정적”

대기업 절반 “근로시간 단축, 전반적인 경영실적에 부정적”

등록 2018.06.06 15:43

손희연

  기자

내달 1일 시행되는 주당 최대 52시간 제도를 앞두고 대기업 절반이 이 제도로 영업이익 등 전반적인 경영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6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한국경제연구원은 다음 달부터 근로시간을 단축해야 하는 기업 112곳을 상대로 제도 시행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응답한 기업의 55.4%(62곳)는 근로시간 단축이 영업이익 등 전반적인 경영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19.6%(22곳)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영향이 없다는 응답도 25.0%였다.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애로사항(복수응답)으로는 '근로시간 단축으로 축소된 임금에 대한 노조의 보전 요구'(35.7%), '생산성 향상 과정에서 노사 간 의견 충돌'(35.7%), '종업원 추가고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29.5%) 등의 순이었다.

근로시간 단축으로 가장 애로를 많이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부서(복수응답)는 72.3%(81곳)가 생산현장인 공장으로 나타났다. 그다음으로는 연구개발 부서(22.3%), 영업 부서(19.6%), 인사 부서(13.4%)의 순이었다.

기업들은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주요 대응계획(복수응답)으로 '생산성 향상 대책 추진'(74.1%)을 1순위에 올렸다. '신규 인력 채용'(27.7%), '일부 업무 외주화'(12.5%), '해외공장 이전 검토'(1.8%)가 뒤를 이었다.

생산성 향상을 주요 대책으로 답한 기업(83곳)에 다시 구체적인 대책을 물은 결과(복수응답) 사무·연구개발 분야에 대해서는 '유연근무시간제 실시'(54.2%), '집중근로시간제 실시'(43.4%), '칼퇴근 문화 정착'(34.9%), '회의시간 축소'(25.3%) 등을 차례로 제시했다.

또 생산현장의 경우 '교대제 개편'(50.6%), '근로시간 유연화'(32.5%), '스마트공장 추진'(31.3%), '인력 전환 배치'(22.9%) 등이 대책으로 꼽혔다.

한경연 관계자는 "근로시간 단축에 대비해 사무·연구개발, 생산현장 등 기업 전 분야에서 근로시간 유연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기업들은 근로시간 단축을 한국 노동시장에 연착륙시키기 위한 제도 보완방안(복수응답)으로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기간 연장'(57.1%, 64곳)을 가장 많이 지적했다.

그다음으로는 '근로시간 저축제도 도입'(33.9%), '생산성에 상응하는 임금 체계 구축 지도'(32.1%), '화이트칼라 이그젬션 도입'(19.6%), '연장근로수당 할증률 인하'(13.4%) 등을 꼽았다.

근로시간 저축제란 연장·야간·휴일근로에 대해 임금 지급 대신 유급휴가를 적립해 휴가로 사용하는 것을 일컫는다.

또 화이트칼라 이그젬션 제도는 일정 수준 이상 소득을 받는 관리직·행정직·연구개발 등 전문직·컴퓨터직·외근 영업직에 대해 초과근로수당을 지급하지 않는 제도다.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기간 연장 요구를 좀 더 세분화해보면 취업규칙에 따른 단위기간은 현행 2주일에서 3개월로 연장하자는 의견(64.1%)이 가장 많았고, 노사 서면합의에 따른 단위기간은 현행 3개월에서 1년으로 연장하자는 의견(75.0%)이 제일 많았다.

근로시간 단축이 노사관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부정적 영향(58.9%), 긍정적 영향(24.1%), 영향 없음(17.0%)을 각각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시간 단축을 지원할 정부의 정책으로는 '신규 고용 근로자에 대한 인건비 일부 지원'(37.5%), '기존 근로자 임금 감소분 일부 보전'(20.5%), '설비투자 융자 지원'(20.5%), '근로시간 유연화 등 컨설팅 지원'(14.3%)을 효과 높은 정책으로 꼽았다.

기업들의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준비 정도는 '현재 준비 완료'가 16.1%, '7월 1일 전(前) 사업장 적용'이 23.2%, '7월 1일까지 완료 예정'이 48.2%, '7월 1일 전 준비 완료 미정'이 8.9%였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근로시간 단축에 대응해 기업들이 근로시간 유연화 등 생산성 향상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추 실장은 "근로시간 단축이 연착륙하려면 노사가 협력하고 양보하면서 생산성 향상을 위해 매진해야 하고,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기간을 선진국 수준으로 연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뉴스웨이 손희연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