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9일 월요일

  • 서울 16℃

  • 인천 17℃

  • 백령 14℃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9℃

  • 수원 17℃

  • 안동 14℃

  • 울릉도 15℃

  • 독도 15℃

  • 대전 18℃

  • 전주 18℃

  • 광주 15℃

  • 목포 15℃

  • 여수 15℃

  • 대구 15℃

  • 울산 15℃

  • 창원 14℃

  • 부산 15℃

  • 제주 19℃

컨버전스 비즈니스 시대···융합 산업서 답 찾다

[창간기획]컨버전스 비즈니스 시대···융합 산업서 답 찾다

등록 2016.10.25 07:58

한재희

  기자

한국은 몇시인가: 4차 산업혁명시대 백년대계 선택기로-빨간불 켜진 산업구조4차 산업 혁명 중심이 된 기술 융합통신사·IT기업·제조사 등에서 활발AI, IoT 등 기술 융합한 서비스 봇물변화에 맞는 법·규제 필요하단 지적도

지난 12일부터 코엑스(COEX)에서 진행된 ‘2016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IoT Korea Exhibition 2016)’ 내 LG유플러스 IoT 전시관. 다양한 IoT 기술과 서비스 등을 전시해 놓은 부스에 방문한 개발도상국 장차관 참관단의 모습. 사진=LG유플러스 제공.지난 12일부터 코엑스(COEX)에서 진행된 ‘2016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IoT Korea Exhibition 2016)’ 내 LG유플러스 IoT 전시관. 다양한 IoT 기술과 서비스 등을 전시해 놓은 부스에 방문한 개발도상국 장차관 참관단의 모습. 사진=LG유플러스 제공.

최근 현대차의 경쟁사는 BMW도 벤츠도 아니다. 인터넷 기업 구글이다. 구글이 자율주행차 사업에 뛰어들면서 기존 자동차 시장과는 다른 경쟁이 펼쳐지기 시작했다. 구글은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해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 딥러닝 등의 기술에 집중 투자했고 2020년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국내 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 경제 질서가 재편되고 있음을 뜻한다. 막대한 초기 투자비를 들여 인프라를 깔고 제품을 생산하던 제조업체들은 지고, 콘텐츠를 앞세운 기업과 메신저 등 전 세계 사용자를 확보한 뒤 자율주행차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다양한 서비스를 결합한 플랫폼 사업자들이 빠르게 떠올랐다.

4차 산업 혁명 중심에 ‘융합’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ICT 혁명과 함께 시작된 4차 산업 혁명은 ‘변화’를 넘어 ‘융합’을 필요로 한다. 1 ,2, 3차 혁명은 제조업이나 서비스업, 정보산업 등 대표되는 산업과 변곡점을 만들어낼 만한 발명품이 존재했지만 4차 혁명은 하나의 산업군이나 제품이 아닌 경제 시스템 변화 전체를 일컫는다.

그 결과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는 새로운 규제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ICT 산업구조를 유연하게 하고 정부 정책 방향을 조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구글을 비롯한 페이스북, IBM 등 글로벌 공룡 기업들은 AI 서비스 개발에 집중 투자하며 크게 앞서나가고 있다. 구글은 딥러닝을 기반으로 한 AI ‘알파고’를 전세계에 선보이며 기술 진화 수준을 뽐내기도 했다.

이들이 인공지능 기술 개발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기존의 검색 기능에 AI 기술을 결합하거나 보안 솔루션, 자율주행차 등으로 서비스 융합의 범위를 확대한다는 전략에서다.

국내에서는 네이버 등의 인터넷 기업과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이 기술 융합에 두각을 보이고 있다. AI 개인비서 시장에서는 한 발 늦게 출발하는 네이버가 상대적으로 높은 한국어 인식률(95%)을 기반으로 ‘AI 비서 대중화’를 앞당기겠다는 포부다.

네이버의 AI서비스인 ‘라온’은 그동안 쌓아온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본 검색은 물론 부동산 매물과 실시간 교통상황까지 대화하며 파악할 수 있다는 게 핵심 강점으로 꼽힌다.

현재 라온은 ‘쥬니버앱’을 이용하는 어린이가 자판입력 대신 음성으로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일부 기능이 적용 중이며, ‘쇼핑톡톡(네이버쇼핑의 질의응답 서비스)’에서는 판매자 대신 상품재고 여부 등에 대해 소비자에게 자동으로 답해주는데 적용 됐다. 인공지능 메신저 ‘톡톡’은 사람이 직접 대답하지 않아도 질문에 대한 적절한 대답을 할 만큼 정확도도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네이버는 기술 연구개발(R&D)에 집중하며 차세대 먹거리 산업 발굴에 나섰다. 국내 최대 인터넷 사용자를 확보한 인터넷 플랫폼으로서 차세대 먹거리 사업 개발에 가장 적극적이다. 연구개발을 위한 랩실을 따로 마련하는가 하면 스마트홈 등 하드웨어(HW) 영역과 융합하는 연구에 향후 5년 간 1000억 원을 투입하는 내용의 ‘프로젝트 블루’를 추진 중이다.

이통사들은 기존에 가지고 있던 네트워크망을 활용해 차세대 먹거리 산업으로 주목 받고 있는 IoT 서비스 개발에 강한 모습이다.

시장조사업체 IDC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IoT 시장은 2014년 6558억달러에서 2020년 1조7000억달러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나타났다. 클라우드와 스마트 그리드, 나노기술 및 로보틱스와 같은 다른 시스템과 및 기술과 연결될 수 있어 파급력도 크다.

이에 통신사는 기존의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홈IoT와 산업 IoT 서비스를 빠르게 개발 중이고 국내 대표 제조기업인 삼성전자와 LG전자과 함께 IoT 기능을 탑재한 가전을 출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SK텔레콤은 최근 음성 인식 기술과 AI를 결합한 서비스 ‘누구’를 선보이는 등 앞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를 발전 시켜나가겠다고 밝혔다.

국내 사물인터넷 경쟁력은 해외 주요국보다 아직은 미흡한 수준이지만 ‘국가별 사물인터넷 준비지수’에서 미국에 이어 2위 (IDC,2013)로 세계시장 선도할 만한 잠재력은 충분하다고 평가된다.

ICT 기술 개발과 기술을 접목한 서비스가 빠르게 상용화되면서 기존의 법과 규제가 바뀌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기존의 법·규제 틀 안에서는 한계가 있다는 뜻이다.

한 사례로 통신기능이 추가된 스마트 센서 기반(IoT)의 소방 설비를 도입하려면 소방시설법에 의해 승인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현재는 최신 사물인터넷기술이 적용된 소방시설물에 대한 인증규격이 없기 때문에 해당 설비의 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자율주행차 문제도 있다. 2020년을 전후로 상용화를 앞둔 자율주행차의 경우 도로 교통법상 자동차는 운전자가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현행법상 상용화가 된다 하더라도 도로주행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정동훈 광운대학교 교수는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전을 위해 기업의 질의나 건의가 처리되고 있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점검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 정해진 기한 내에 이를 처리하는 제도를 마련해야”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han324@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