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31일 금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침통한 얼굴로 빈소 지키는 신동빈···추모 발길 이어져

[신격호 별세]침통한 얼굴로 빈소 지키는 신동빈···추모 발길 이어져

등록 2020.01.19 21:04

변상이

  기자

공유

故 신격호 롯데그룹 명예회장 빈소. 사진=롯데그룹故 신격호 롯데그룹 명예회장 빈소. 사진=롯데그룹

19일 롯데그룹 창업주 신격호 명예회장의 별세 소식에 서울 아산병원에는 그룹 관계자들이 모여 조문객을 맞을 준비를 하고 있다.

신 회장을 비롯한 임직원들은 비통한 표정을 감추지 못하며, 신 명예회장의 마지막을 배웅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현재 빈소에는 롯데그룹 임직원들은 조문객을 맞을 준비로 분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그룹에 따르면 지난 18일 밤 신 명예회장의 상태가 급격히 악화해 만일에 대비해 가족들과 그룹 주요 임원진이 병원에 모여 있는 상태였다.

신 명예회장 별세 후 가장 먼저 차남인 신동빈 롯데 회장이 침통한 표정으로 빈소에 들어갔고 이후 장남인 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이 부인과 함께 모습을 드러냈다.

경영권 분쟁 등으로 사이가 소원했던 두 사람은 2018년 10월 신동빈 회장에 대한 국정농단·경영비리 재판 2심 선고 때 마주친 이후 1년3개월여만에 병원에서 재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 명예회장의 동생인 신준호 푸르밀 회장도 빈소를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그룹 관계자 외에 박준 농심 부회장, 김남정 동원그룹 부회장도 이미 빈소를 다녀갔
다. 신격호 명예회장의 최측근이었던 소진세 교촌에프앤비(F&B) 대표이사 회장도 빈소를 찾아 고인을 배웅했다.

임종은 신 회장 형제를 비롯해 딸 신영자 롯데장학재단 이사장 등 자녀들이 지켜봤으며, 부인 시게미츠 하츠코(重光初子) 여사도 병원에 있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신영자 이사장은 부친의 병세가 악화한 전날부터 병상을 지킨 것으로 알려졌고, 일본 출장 중이던 신동빈 회장은 신 명예회장이 위독하다는 소식에 이날 급히 귀국해 오후에 병원에 도착했다. 사실혼 관계인 서미경씨가 빈소를 찾을지는 미지수다.

한편 장례는 롯데그룹의 창업주인 고인을 기리고자 그룹장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명예장례위원장은 이홍구 전 국무총리, 반기문 전 UN사무총장이 장례위원장은 황각규 롯데지주 대표이사, 송용덕 롯데지주 대표이사가 맡을 예정이다.

뉴스웨이 변상이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