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8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전남소방본부, 화재 주원인...부주의가 절반이상

전남소방본부, 화재 주원인...부주의가 절반이상

등록 2016.01.07 15:26

노상래

  기자

공유

2015년 활동 분석 결과, 하루 평균 구조 70건·구급 211건·화재 진압 7.2건

전남소방본부가 작년 한해동안 관내에서 발생한 화재원인을 분석한 결과 부주의가 절반이상으로 나타났다. 또 10만 2377건의 구조구급활동에 나서고, 2646건의 화재 진압활동을 펼친 것으로 분석됐다.

7일 전남소방본부에 따르면 2015년 한 해 동안 2만 5486건의 구조 활동에 나서서 503명을 구조했고, 7만 6891건의 구급활동으로 8만 156명을 병원에 이송했다.

전년에 비해 구조는 3675건, 17% 늘어났지만 구조 인원은 95명으로 1.7%가 줄었고, 구급은 6096건 8.6%, 이송인원은 5874명 7.9%로 각각 늘었다.

하루 평균 구조는 69.8건(전년 59.8건), 구급은 210.6건(전년 193.9건)의 활동을 펼친 셈이다.

구조 유형별로는 벌집 제거 8140건(31.9%), 교통사고 4365(17.1%), 동물 구조 3452건(13.5%) 순이었으며, 구급 유형별 이송 인원은 질병이 4만 3824명(54.6%)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사고 부상 1만 9453명(24.2%), 교통사고 1만 2404명(15.4%) 순으로 나타났다.

화재는 1년 동안 총 2646건이 발생해 112명(사망 11명, 부상 101명)의 인명피해와 195억 2천만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이는 하루 평균 약 7.2건의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2014년 화재 2620건, 사망 43명, 부상 131명, 재산피해 206억 600만 원과 비교해 화재 건수는 26건(1%) 늘어난 반면 인명피해는 62명(35.6%), 재산피해는 10억 8600만 원(5.3%)으로 줄었다.

화재 장소별로는 비 주거 26.5%(701건), 주거 23%(346건), 임야 13.3%(352건), 차량 11.2%(297건), 기타 26%(689건) 순으로 발생했다. 비 주거시설은 창고 3.4%(90건), 동식물 3%(79건), 음식점 2.9%(77건), 공장 2.3%(60건) 등이다.

화재 주원인은 부주의 56%(1484건), 전기 20.7%(548건), 기계적 9.3%(247건), 미상 7.6%(201건) 순이었다.

관계자는 “구조구급활동 분석을 기초로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구조구급 안전대책을 수립, 도민들이 안전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데 최선을 다 하겠다” 며 “겨울철 전열기와 난방기 장시간 사용은 안전사고 위험이 있으므로 주기적 점검을 실시하고, 집집마다 소화기를 비치해 위급한 상황에서 큰 피해를 방지토록 해줄 것”을 당부했다.

호남 노상래 기자 ro1445@

뉴스웨이 노상래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