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5월 02일 금요일

  • 서울 13℃

  • 인천 13℃

  • 백령 10℃

  • 춘천 15℃

  • 강릉 11℃

  • 청주 15℃

  • 수원 13℃

  • 안동 14℃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4℃

  • 전주 13℃

  • 광주 13℃

  • 목포 14℃

  • 여수 17℃

  • 대구 18℃

  • 울산 14℃

  • 창원 17℃

  • 부산 16℃

  • 제주 14℃

콜롬비아대 제프리 삭스 교수 경운대서 특강!

콜롬비아대 제프리 삭스 교수 경운대서 특강!

등록 2015.11.24 21:43

홍석천

  기자

공유

▲ 경운대학교는 24일 오후 교내 경운벽강아트센터에서 세계 최고의 경제학자인 미국 콜롬비아대학 제프리 삭스 교수를 초청해 특강행사를 가졌다.
경운대학교(총장 장주석)는 24일 오후 교내 경운벽강아트센터에서 미국 콜롬비아대학교 제프리 삭스 교수 초청 특강행사를 가졌다.

경상북도와 UNWTO ST-EP재단이 후원한 이번 특강은 경북도청 우병윤 정무실장, UNWTO ST-EP재단 도영심 이사장, 경운대 김향자 명예총장과 장주석 총장 등 많은 내빈을 비롯해 교수와 학생 등 1천300여 명이 참석해 특강을 경청하였다.

제프리 삭스교수는 미국 콜롬비아대학 교수로 현재 반기문 UN사무총장 특별고문을 맡고 있다.

UN 밀레니엄빌리지 창설자, UN 새천년개발목표 창도위원, UN 지속가능해법네트워크 대표, ITU/UNESCO Broadband 개발위원회 위원, 콜롬비아대학 지구연구소 소장 등 화려한 경력을 자랑하고 있다.


▲ 경운대학교는 24일 오후 미국 콜롬비아대학 제프리 삭스 교수를 초청해 유엔과 새마을운동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특강행사를 가졌다. 특강 후 학생들과의 질의 응답시간을 가지고 있는 제프리 삭스 교수.
또 매년 타임지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명의 지도자로 늘 이름을 올리고 있으며 로렌스 서머스, 폴 크루그먼과 등과 더불어 세계 경제학계의 3인으로 불리고 있다.

제프리 삭스 교수는 UN & Saemaul Undong : MDGs & SDGs 라는 주제로 명쾌한 특강을 진행했다.

그는 "현재 UN은 세계적인 빈곤 문제해결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중 한국의 새마을 운동은 UN의 빈곤퇴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유엔의 천년 개발목표(MDGs :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와 부합하는 좋은 사례"라고 말했다.

또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를 통해 △세계적 빈곤종료 △농업 촉진 △복지증진 △평생학습기회부여 △양성평등 등을 제시하고 UN과 한국의 새마을 운동을 통해 많은 문제들을 극복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제프리 삭스 교수는 "아시아는 머지않아 세계의 중심이 될 것이다. 여러분들이 받고 있는 우수한 교육들이 전 세계적으로 겪고 있는 질병, 가난, 전쟁, 경제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분명한 열쇠가 될 것"이라며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기도 했다.

특강에 참석한 이재국 학생은 "우연한 기회에 제프리 삭스 교수의‘빈곤의 종말’이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다. 실제로 강연을 직접 들을 수 있어 행운이었고 특강을 통해 지구촌의 어려움을 실제로 보는 듯 한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였다고 말했다.

김향자 명예총장은 "세계적 석학이자 UN의 특별고문으로 있는 제프리 삭스 교수가 우리 대학에서 특강을 할 수 있게 돼 매우 감사하고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UN의 세계빈곤퇴치 정책 중에 한국의 새마을운동이 많은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다는 사실에 매우 큰 공감을 가졌다. 제프리 교수가 전 세계에 던지는 메시지를 우리는 반드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경상북도와 경운대는 이번 특강을 통해 새마을운동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더불어 더욱 진보된 새마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구촌 곳곳에 빈곤, 질병, 기아가 줄어들 수 있도록 많은 국가에 새마을운동이 전파되길 기대하고 있다.

경북 홍석천 기자 newsroad@


뉴스웨이 홍석천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