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7일 토요일

  • 서울 14℃

  • 인천 14℃

  • 백령 10℃

  • 춘천 12℃

  • 강릉 19℃

  • 청주 14℃

  • 수원 11℃

  • 안동 12℃

  • 울릉도 15℃

  • 독도 15℃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1℃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5℃

  • 울산 13℃

  • 창원 14℃

  • 부산 14℃

  • 제주 16℃

대기업 신용등급 줄줄이 하락···흔들리는 은행

[포커스]대기업 신용등급 줄줄이 하락···흔들리는 은행

등록 2014.10.01 08:54

수정 2014.10.01 08:56

손예술

  기자

업계선 보수적 여신관리 목소리 높아져정부 ‘금융권 보신주의’질타에 눈치만

사진=김동민 기자 life@사진=김동민 기자 life@


은행들이 궁지에 몰렸다. 금융위기 이후 국내 대기업들의 신용등급 하락으로 이전처럼 돈을 믿고 빌려주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특히나 대기업 계열사들의 하락세가 두드러지다보니 ‘대기업 프리미엄’도 좀처럼 안심할 수 없게 됐다.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보수적 여신관리가 필요하단 목소리가 금융권에선 나오고 있지만 경기 부양 의지를 적극적으로 내세우는 정부 때문에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대기업 신용등급 상하향배율 2000년 들어 최저점
최근 국내 신용평가사(한국기업평가·NICE신용평가·한국신용평가)가 올해 상반기 대기업에 대한 신용등급을 대거 하향조정했다. 한국기업평가가 등급을 하향조정한 기업 수는 21개에서 32개로 늘었고, 나이스신용평가도 17개에서 30개로 증가했고 한신평 역시 10개에서 17개로 늘어났다.

그러다 보니 대기업 신용등급 상하향배율도 2000년 들어 최저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상반기 신용등급 상하향배율은 0.29로 1을 초과하면 상향, 1 미만이면 하향세를 의미한다.

특히 이번 신용등급 하락에 포함된 기업 대부분은 대기업으로 조사됐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신용등급이 내려간 기업들은 총 32개로 이 중 동부건설·KT렌탈·코오롱글로벌·포스코·한진중공업 등 대기업군에 속하는 하락 업체 수가 30개다.

자료=하나금융경영연구소자료=하나금융경영연구소


자료=하나금융경영연구소자료=하나금융경영연구소


김유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신용등급이 하락한 기업이 대부분 대규모 기업집단에 속한 대기업으로 나타났다는 것은 업황 악화에 따른 등급 하락 압박이 대기업도 예외는 아니라는 것을 뜻한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향후 장기 저성장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신용등급 하락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며 “투자등급 하락은 기업은 물론이고 금융권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권 “보수적으로 여신관리 진행해야”
저성장이 지속되면서 투자등급 그룹 내의 업체의 부도 발생률도 상승하면서 금융권 불안은 점점 커지고 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투자적격 등급 기업의 부도율이 2011년 0.23%였으나 2013년에는 두 배로 늘어난 0.50%다. 즉, 대기업과 투자적격 등급이라 할지라도 부실 여신이 발생할 수 비율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 연구원은 “금융사는 잠재 리스크가 우려되는 대기업 중심의 선제적이고 보수적인 여신 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금융권에서 제시한 관리 방안은 대기업 신용평가 시 소속 기업집단 즉, 모기업의 지원 가능성을 배제한 ‘독자신용등급제’ 등이다. 모회사의 지원능력과 의지로 결정되는 것이 불확실하다보니 이보다는 개별 기업 신용에 초점을 둬 자금을 조달하겠다는 것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독자신용등급제를 2015년에 도입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 이외에도 회사채 발행 공적기업에 대해 신평사 ‘의무지정제도’ 및 ‘순환평가제도’ 도입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민정 수석연구원은 “피평가사의 영업 및 재무위험 뿐만 아니라 계열사 상호간의 동반부실 리스크, 그룹사 구조조정 진행 상황, 자본 변화 등에 대한 전방위적인 금융사의 집중 모니터링이 행해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마저도 금융권은 이마저도 눈치가 보여 적극적인 실행이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정부에서는 은행이 무조건적 중소기업 등에 돈을 많이 빌려주지 않는 것처럼 말한다. 중기 대출을 늘려 부실 여신 문제가 생기면 그때 책임은 은행이 져야 하는데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게 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상황에 맞는 여신관리를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심한 간섭을 해선 안된다”고 말했다.

손예술 기자 kunst@

뉴스웨이 손예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