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9일 수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HMM 민영화 첫발 떼나···해수부, 업무계획에 민영화 의지 피력

HMM 민영화 첫발 떼나···해수부, 업무계획에 민영화 의지 피력

등록 2022.08.11 21:39

이승연

  기자

공유

사진=HMM 제공사진=HMM 제공

국내 최대 규모의 컨테이너 선사 HMM(옛 현대상선)에 대해 정부가 보유하던 지분을 점진적으로 매각해 민영화를 추진한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11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업무보고를 한 자리에서 HMM의 민영화 방안 등 새 정부 해수부의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현재 HMM은 정부가 대주주로 있는 산업은행이 전체 지분의 20.69%를 쥐고 있다.

정부가 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 HMM의 공공보유 지분을 단계적으로 줄이는 민영화 여건 조성에 착수한다. 또 민간의 선박 투자 활성화를 위해 선박 투자자에게 세제 혜택을 주는 '조세리스 제도'를 도입한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11일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이같은 내용이 담긴 새 정부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해수부는 업무 계획에 "중장기적으로 HMM의 경영권을 민간에 이양하기 위한 여건을 조성하겠다"는 내용을 담았다.

다만 HMM의 민영화를 위해서는 10조원에 가까운 재원이 필요한 만큼 단기적 민영화는 어렵다. 이 때문에 공공기관의 지분을 단계적으로 축소해 자연스러운 민영화 여건을 마련하겠다는 것이 해수부 측 입장이다.

경쟁 선사보다 부족한 항만터미널 등 물류 자산을 확보해 경쟁력을 키우고 영구채 전환 시 74.1%에 달하는 정부 지분을 단계적으로 줄이면서 민간 매각에 유리한 여건을 만들겠다는 것이 해수부의 세부 설명이다.

조 장관은 "HMM이 흑자 실적을 내는 상황에서 정부와 공공기관이 계속 가져갈 수는 없다"며 "민영화를 위해 공공기관의 지분을 단계적으로 줄여가는 등 여건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뉴스웨이 이승연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