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이슈플러스 코로나로 생긴 습관은···"한국인 손씻기, 외국인은 유튜브 시청"

이슈플러스 일반

코로나로 생긴 습관은···"한국인 손씻기, 외국인은 유튜브 시청"

등록 2022.04.06 14:42

공유

사진=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2년 넘게 이어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한국인은 '손 씻기', 외국인은 '유튜브·TV 시청'이라는 새로운 습관이 생겼다고 한다.

한국이미지커뮤니케이션연구원(CICI)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장기화한 코로나19가 우리 일상에 미친 영향' 보고서를 6일 발표했다.

국내에 거주하는 한국인 214명·외국인 203명 등 총 417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에 '코로나19 이후 새로 생긴 습관'이라는 질문(복수응답)에 한국인의 71.5%는 '손 씻기 생활화와 주기적인 손 소독', 외국인의 78.3%는 'TV·유튜브 등 영상 시청'을 각각 선택했다.

외국인이 첫 순위로 꼽은 '영상 시청'은 한국인의 경우 2위(64.5%)에 머물렀다. 반면에 한국인이 1순위로 꼽은 '손 씻기'는 외국인에게 3위(41.4%)에 그쳤다.

'요리'의 경우 외국인은 2위(64.0%), 한국인은 3위(50.9%)를 차지했다.

'일상 회복 이후에도 유지되기를 바라는 것'(복수응답)을 묻자 외국인(83.7%)과 한국인(78.5%) 모두 '손 씻기 생활화'를 가장 많이 꼽았다.

2위는 외국인(49.8%)과 한국인(69.2%) 모두 '주기적인 소독'을 꼽았다.

다만 3위에서 한국인은 '회식 빈도 감소'(25.2%), 외국인은 '재택근무'(31.5%)를 꼽았다.

연구원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손 씻기 생활화'를 꼽은 비율이 한국인이 더 많았던 것은 정부의 거리두기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는 의무감과 함께 위생 관념이 더 컸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상 회복 이후에도 '회식 빈도 감소'가 유지되기를 바라는 것은 경직된 회식 문화에 대한 거부감이 표출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