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7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이슈플러스 스파이크 단백질 32개 신종 변이 발견···B.1.1.529변이는 어떤 변이?

이슈플러스 일반

스파이크 단백질 32개 신종 변이 발견···B.1.1.529변이는 어떤 변이?

등록 2021.11.26 09:12

수정 2021.11.26 09:24

안민

  기자

공유

사진=연합뉴스 제공사진=연합뉴스 제공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새로운 변이종 바이러스가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B.1.1.529라고 불리는 이 변이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32개나 있어 현재 창궐하는 변이보다 더 전파력이 강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번에 새로 발견된 변종 바이러스는 총 10여건으로 지난달 11일 아프리카 보츠와나에서 2건,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6건, 홍콩에서 1건에서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변종 바이러스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용해 숙주 세포로 침투하기 때문에 스파이크 단백질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전파력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인체의 면역 체계가 바이러스를 공격하기가 더 어려워질 수도 있다. 코로나19 백신은 모두 스파이크 단백질에 작용하는 방식이다.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바이러스학자인 톰 피콕 박사는 B.1.1.529 변이종의 바이러스 정보를 유전체 정보 공유 사이트에 공유하면서 “매우 많은 양의 스파이크 돌연변이가 크게 우려될 수 있다”며 “아주, 아주 면밀하게 관찰해야하며 전파력이 그다지 크지 않은 이상한 종으로 드러날 수 있다. 그랬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이어 “중화 항체들이 알파·델타 변이보다 이 변이종을 인식하기 더 어려울 것”이라며 “지금 단계에서는 전파력을 예측하기 어렵다. 시간이 중요한 만큼 면밀히 관찰·분석해야겠지만, 가까운 시일 내에 급격히 확산하는 것이 아니라면, 과도하게 우려할 필요도 없다”고 강조했다.

뉴스웨이 안민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