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부동산 다주택에 떨어진 종부세 폭탄···매물 물꼬 터질까

부동산 건설사

다주택에 떨어진 종부세 폭탄···매물 물꼬 터질까

등록 2021.11.25 18:22

서승범

  기자

공유

다주택자 종부세 평균 3배 증가 전망양도세 부담에 매물 유도 기대 못 미칠 듯금리 변화·시장 움직임에 따라 효과 다를 듯

서울 동북권 일대 아파트 단지 전경. 사진=연합뉴스 제공서울 동북권 일대 아파트 단지 전경. 사진=연합뉴스 제공

집값 상승과 세율 인상 등의 영향으로 올해 다주택자들의 종부세 부담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정부의 노림수대로 기존 주택 매물이 늘어날 지 관심이 몰리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부동산 상승에 대한 주택보유자들의 기대감이 여전하기 때문에 곧바로 큰 움직임이 나타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주택분 종부세 고지 인원은 94만7000명, 고지 세액은 5조7000억원이다.

이 중 2주택 이상 다주택자가 51.2%(48만5000명), 이들이 부담하는 세액은 전체 47.4%(2조7000억원)에 달한다.

종부세 고지를 받은 다주택자는 지난해 35만5000명에서 13만명 증가했고, 이들이 부담하는 세액은 9000억원에서 1조8000억원 증가했다. 다주택자 올해 종부세는 평균 지난해 3배 이르는 셈이다.

특히 다주택자 중 85.6%(41만5000명)인 조정대상지역 2주택자나 3주택 이상자가 다주택자세엑 2조7000억원 중 96.4%(조6000억원을) 부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재부 예시에 따르면 조정대상지역인 서울 강남구에 시가 26억원 아파트 1채와 시가 27억원의 주택 1채를 보유한 사람의 경우 올해 5869만원의 종부세를 부과받았다.

여기에 재산세까지 합치면 다주택자들의 세부담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부가 재산세와 보유세를 합친 보유세액이 직전 연도 3배(3주택 이상 및 조정대상지역 2주택)를 넘지 않도록 하는 세부담 상한 한도를 시행하고는 있지만, 종부세가 급증한 만큼 상한 한도를 넘기는 경우가 속출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법인은 고지 인원의 6.5%(6만2000명)를 차지하고 고지 세액의 40.4%(2조3000억원)를 부담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다주택자와 법인이 전체 고지 인원의 57.8%이며 이들의 부담분이 고지 세액의 88.9%를 차지했다.

다주택자와 법인의 세 부담분이 크게 오르면서 세금 부담을 덜기 위해 소유한 주택을 매물로 내놓을 가능성도 높아졌다. 다만 종부세 부과 기준일이 지난 6월 1일이었던 만큼 내년 상반기까지 다주택자들이 시장 상황을 관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여기에 부동산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한 것도 매물 유도 효과가 미비할 것으로 보는 이유로 꼽혔다.

최현일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는 “종부세가 3배 오른 것보다 부동산 가격이 더 많이 올랐다. 효과는 없을 것”이라며 “종부세 등 세금으로 다주택자를 압박해 매물을 유도하기 보다는 반대로 거래세 등을 낮춰 숨통을 틔여줘야 매물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양지영 양지영 R&C 연구소장은 “종부세 인상폭이 예상보다 커서 부담이 되긴 하겠지만, 시세가 올라주는 기대감이 있기 때문에 매물 유도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양도세 때문에 더 팔지 못하는 상황이다. 경기권까지 증여가 늘어나는 것이 이를 반증한다”고 말했다.

다만 금리인상까지 더해지면서 강남 등 인기 지역을 제외하고 매물이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도 나왔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내년 현실화율 상향에 세부담도 더 증가되는 상황이라 다주택자들 압박 강도가 세졌다. 금리까지 인상됐기 때문에 일부 물량이 나올 것으로 본다”며 “다만 선호도가 높은 지역에서 매물이 증가할 것이냐는 다른 문제다. 지방이라던지 수도권에서 경쟁력이 떨어지는 곳 위주로, 풍선효과로 급등한 지역에서 대출을 통해 추가 주택을 구매한 다주택자 위주로 매물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리서치팀 본부장은 “집값 급등 기대감에 소득 대비 무리하게 집을 산 수요자들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당분간은 상황을 지켜볼 가능성이 높다. 내년 금리 정책, 부동산 시장의 가격변동 등에 따라 움직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