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감원 노조 “교수 출신 원장 반대···내부 인사 중용해야”

금감원 노조 “교수 출신 원장 반대···내부 인사 중용해야”

등록 2021.05.31 15:52

차재서

  기자

공유

“윤석헌 전 원장 재임 중 ‘문제점’ 노출”“키코 관련 소신 밝힌 인사는 좌천되고” “채용비리 가담자, 승진자 명단에 올라” “내부 출신 원장 배출될 토양 마련해야”

(사진=이수길 기자)(사진=이수길 기자)

금융감독원 노동조합이 차기 금감원장 후보로 학계 인사가 거론되는 데 강하게 반발하며 내부 인사를 중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31일 금감원 노조는 이날 발표한 공식 설명에서 “(청와대가)이번에도 교수 중 후보를 물색하는 것 같은데, 이는 현실을 전혀 모르는 것”이라며 “진정 금감원을 개혁하길 원한다면 교수 출신 원장이란 욕심을 꺾어달라”고 밝혔다.

이는 신임 금감원장 후보로 이상복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와 원승연 명지대 경영학과 교수, 손상호 전 한국금융연구원장, 정석우 고려대 경영학부 교수 등이 지목되는 데 따른 발언이다.

금감원 노조는 교수 출신인 윤석헌 전 원장이 재임 중 여러 문제를 불러온 만큼 학계에서 후임자를 찾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노조는 “윤 전 원장이 개혁을 앞세워 대법원 판결 후 소멸시효마저 완성된 키코 사건과 관련해 은행에 손해배상을 요구했다”며 “은행은 배임이 우려된다며 우회적으로 거부의사를 밝혔으나, 윤 전 원장은 5번이나 분쟁조정 결과 처리기한을 연장하며 은행을 압박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윤 전 원장이 조직운영 면에서도 많은 문제점을 노출했다”며 “키코 재조사 등과 관련해 소신을 밝힌 사람은 불이익을 당했다”고 꼬집었다.

일례로 이상제 부원장의 경우 2008년 국정감사에서 ‘키코는 사기가 아니라 불완전 판매’라는 취지의 발언을 해 분쟁조정위원장에서 제척됐고, 키코 사건을 담당했던 부서장은 갑자기 외부교육기관으로 좌천됐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또 채용비리 연루자에 대한 승진과 관련해서도 노조는 “금감원을 공공기관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이유 중 하나가 채용비리이고 이로 인해 무고한 직원은 성과급 삭감에 승급제한까지 당하고 있다”면서 “채용비리 가담자에게 구상권을 행사하기는커녕 승진이란 선물을 줬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조직의 수장으로 교수를 겪어보니 정무감각과 책임감을 도저히 찾아보기 어려웠다”며 “지시를 잘 따르는 직원을 승진시키면서 파벌을 만들었고, 그 결과 금감원 내 권역별 업무갈등은 심해지고 고질적인 권역별 ‘나눠 먹기’가 부활했다”고 우려하기도 했다.

노조는 “금감원이 통합감독기구로서 출범한 지 어느덧 22년째를 맞았는데 금감원장은 계속 외부출신이 임명되고 있다”며 내부 출신 발탁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러면서 “내부출신 원장이 배출되려면 권역갈등에서 자유로운 통합 후 세대를 먼저 키워야 할 것”이라며 “대통령께서 진정 금감원을 배려하신다면 내부출신 원장이 배출될 토양을 마련해주시길 간곡히 요청 드린다”고 언급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