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3월 29일 금요일

  • 서울 5℃

  • 인천 5℃

  • 백령 6℃

  • 춘천 7℃

  • 강릉 9℃

  • 청주 7℃

  • 수원 5℃

  • 안동 7℃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7℃

  • 전주 7℃

  • 광주 8℃

  • 목포 9℃

  • 여수 10℃

  • 대구 9℃

  • 울산 10℃

  • 창원 9℃

  • 부산 10℃

  • 제주 8℃

최수부 - ‘최씨 고집’의 정체

[창업자로부터 온 편지]최수부 - ‘최씨 고집’의 정체

등록 2018.06.14 14:59

수정 2018.06.15 12:57

이성인

  기자

편집자주
‘창업자로부터 온 편지’는 한국 경제계의 거목으로 불리는 대기업 창업자들부터 미래를 짊어진 스타트업 CEO까지를 고루 조망합니다. 이들의 삶과 철학이 현직 기업인은 물론 창업을 준비하는 젊은 세대에게도 좋은 길잡이가 되기를 바랍니다.

최수부 - ‘최씨 고집’의 정체 기사의 사진

최수부 - ‘최씨 고집’의 정체 기사의 사진

최수부 - ‘최씨 고집’의 정체 기사의 사진

최수부 - ‘최씨 고집’의 정체 기사의 사진

최수부 - ‘최씨 고집’의 정체 기사의 사진

최수부 - ‘최씨 고집’의 정체 기사의 사진

최수부 - ‘최씨 고집’의 정체 기사의 사진

최수부 - ‘최씨 고집’의 정체 기사의 사진

최수부 - ‘최씨 고집’의 정체 기사의 사진

최수부 - ‘최씨 고집’의 정체 기사의 사진

최수부 - ‘최씨 고집’의 정체 기사의 사진

최수부 - ‘최씨 고집’의 정체 기사의 사진

최수부 - ‘최씨 고집’의 정체 기사의 사진

최수부 - ‘최씨 고집’의 정체 기사의 사진

‘최씨 고집’이란 말이 있습니다. 고려 최영 장군의 충절에서 비롯된 게 변형돼 지금은 지독하게 고집스러운 이를 일컫는, 다소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곤 하는데요.

스스로에게 ‘최씨 고집’이란 수식어를 붙이던 기업가가 있습니다. 바로 광동제약의 창업자 故 최수부 선대회장.

그가 자랑스럽게까지 여긴 ‘최씨 고집’의 정체는 과연 무엇이었을까요?

1936년 일본 출생인 최 회장. 일본에선 조선인이라고, 한국에 와선 조선말이 서툴다며 ‘왕따’를 당했는데요. 이런 학창생활마저 12살 때 그만둘 수밖에 없었습니다. 부친의 사업 실패로 일찍이 생업에 뛰어들어야 했던 것.

“꿈을 현실로 만들어주는 건 학력이 아니라 실력이다.”

참외, 담배, 엿 등 안 팔아본 게 없었던 그는 1960년, 전역하자마자 고려인삼산업사의 면접을 봅니다. 탈락. 하지만 기회를 놓치기 싫었던 최 회장은 장사 경험을 간곡히 어필, 지사장의 마음을 움직여 영업사원으로 채용됩니다.

첫 임무는 한방의약품인 경옥고 팔기였습니다. 그러나 비싼 값에 문전박대 당하기 일쑤였지요. 그는 구두가 닳을 때까지 걷고 또 걸으면서 제품을 홍보했고, 마침내 을지로의 한 양복점에서 처음으로 판매에 성공합니다.

시작이 반, 그는 입사 첫해부터 판매왕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최 회장은 훗날 틈나는 대로 다시 고객을 찾아 약을 제때 복용하는지, 효능은 있는지를 살피며 제품이 아닌 믿음을 판 게 비결이라고 회고한 바 있습니다.

“영업은 제품이 아니라 믿음을 파는 것이다.”

입사 자체는 물론 영업왕에 오른 것 또한 ‘한 고집’하는 그의 성격에서 비롯됐다고 볼 수 있는데요.

이 같은 태도는 1963년 경험과 인맥을 바탕으로 광동제약사의 문을 직접 연 이후에도 이어집니다.

초창기 광동제약은 자본도 기술도 부족했습니다. 여느 사업자라면 이익을 남기기 위해 꼼수를 조금은 썼을 법도 한데요. 하지만 최 회장에게 부실한 재료로 적당히 만든 약품을 파는 건 용납할 수 없는 행위였습니다.

단 한 알의 약이라도 최고의 재료로 정성스럽게 만들어야 한다는 게 원칙이었던 것. 그는 50년 동안 약재를 손수 고르며 이를 최전선에서 실천합니다. 경옥고를 비롯한 우황청심원, 쌍화탕 등의 성공 뒤엔 바로 이 원칙주의가 있었던 셈이지요.

“정직과 신뢰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광동쌍화탕의 경우 다른 쌍화탕보다 두 배나 비쌌지만 “이제야 쌍화탕다운 게 나왔다”는 약사들의 호평을 듣기도 했습니다. 품질이 가격 문제를 덮어버린 셈. 그렇게 쌍화탕은 월 50만 병 이상 팔리는 인기품목이 됐습니다.

한 가지 더 주목할 부분이 있다면 최 회장의 동력인 품질에의 고집이 조직문화엔 적용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그는 최고경영자를 지시하고 말하는 곳이 아닌, 직원들 말을 잘 들어야 하는 자리로 여겨왔는데요.

실제로 그는 개인으로 만나든 단체로 만나든 직원들과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누고자 부단히 노력해왔습니다. 광동제약이 IMF를 딛고 다시 일어선 배경엔 그렇게 쌓아온 노사 간 신뢰가 있었다는 게 업계 평가이기도 합니다.

“직원 수가 열 명에서 백 명으로 늘면 경영자의 귀 역시 백 개로 늘려야 (···) 노사는 결코 갑을관계가 아니다.”

이렇듯 품질에 관한 한 극한의 완벽을 기하는 ‘최씨 고집’의 대명사이면서도, 소통에선 유연한 태도를 잊지 않은 최수부 회장.

‘기업인’ 혹은 ‘상급자’가 갖춰야 할 미덕이 궁금하다면, 먼 데서 찾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