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순환출자’ 예시된 현대차.. 지배구조 어떻게 풀까

‘순환출자’ 예시된 현대차.. 지배구조 어떻게 풀까

등록 2017.05.24 07:57

김민수

  기자

공유

‘현대차→기아차→모비스’ 순환고리 해소 관건각 회사 인적분할 뒤 합병 시나리오 유력정의선, 모비스 지분 취득 통한 지배력 강화 나설 수도지분 매입비용·증여세 등 오너일가 부담이 관건

사진=현대자동차 제공사진=현대자동차 제공

지난 주 ‘재벌 저격수’로 불리는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임명과 함께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이슈는 현대자동차그룹의 지배구조 개편 문제다. 지난 18일 첫 기자간담회를 연 김 내정자가 “순환출자가 지배권 승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업은 사실상 현대차그룹 하나 밖에 남지 않았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여기에 일부 언론에서 나온 현대차그룹 지주사 전환 추진 관련 보도는 이 같은 논란을 더욱 확대시켰다. 그룹 측은 ‘사실 무근’이라며 적극 해명에 나섰지만 업계에서는 벌써부터 현대차 지주사 전환이 가장 현실성 있는 시나리오 가운데 하나라는 전망이 설득력을 얻는 모양새다.

현재 현대차그룹의 지배구조는 현대자동차→기아자동차→현대모비스→현대자동차로 이어지는 순환출자 형태를 취하고 있다. 하지만 순환출자 해소라는 사회적 흐름과 함께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으로의 경영 승계를 위해서도 향후 지배구조 개편 작업은 불가피한 게 사실이다.

한 재계 관계자는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내정으로 현대차그룹의 지배구조 개선 움직임이 가속화될 수 밖에 없다”며 “다만 외부적 요인 대신 그룹 내 후계 구도에 관한 분위기가 무르익는 시점에 단행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단 시장에서 언급되는 현대차그룹의 순환출자 해소 방안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는 현대차, 기아차, 현대모비스 등 3개 회사가 투자부문과 사업부문으로 인적분할한 뒤 3개 회사의 투자부문을 합병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되면 순환출자가 해소되는 동시에 합병 지주회사가 현대차와 기아차 현대모비스의 사업부문을 모두 보유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이 해당 지주사 지분을 취득함으로써 경영권 승계가 자연스럽게 이뤄질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유지웅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단순히 순환출자 해소를 목적으로 각 회사 지분을 다른 회사가 매수하는 등의 시나리오는 최소 3조7000억원의 현금이 소모돼 효율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며 “반면 통합 지주사가 출범하는 방식의 경우 별다른 비용 없이 오너일가의 경영권 확보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방식은 정 부회장이 사재출연이나 보유하고 있는 현대글로비스 주식 매각 및 교환을 통해 현대모비스 보유지분을 늘리는 시나리오다.

현재 정 부회장은 지분 6.96%를 가진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과 달리 현대모비스 지분을 하나도 보유하고 있지 않다. 현재 보유 중인 현대글로비스 주식을 매각해 현대모비스 주식을 사들이거나 기아차가 보유한 현대모비스 지분과 교환하는 방식으로 경영권 확대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 역시 순환출자 해소는 물론 그룹 승계 주체인 정 부회장의 핵심 계열사 지배력까지 확대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하지만 교환 과정에서 글로비스 지분 가치에 대한 논란이 불거질 경우 2015년 삼성그룹의 ‘삼성물산-제일모직’ 논란이 또 다시 재연될 여지도 충분하다.

때문에 대다수의 전문가들은 현대차그룹의 지배구조 개편 작업이 빠른 시일 내 구체화되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지배구조 개편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순환출자 해소 과정에서 지분 매입 비용과 증여세 등 오너 일가가 부담해야 할 비용이 만만치 않은 만큼 중장기적인 이슈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송선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회사 측의 부인에도 김상조 신임 공정위원장 내성과 신정부의 재벌개혁안 및 경제민주화 정책 논의로 현대차그룹의 지주사 전환 가능성이 재차 고조되고 있다”며 “다만 규제 변화를 근거로 지주회사 전환을 서둘러야 할 당위성이 성립되지 않는다는 점도 유념해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뉴스웨이 김민수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