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07일 월요일

  • 서울 28℃

  • 인천 29℃

  • 백령 25℃

  • 춘천 32℃

  • 강릉 31℃

  • 청주 32℃

  • 수원 30℃

  • 안동 34℃

  • 울릉도 27℃

  • 독도 27℃

  • 대전 32℃

  • 전주 32℃

  • 광주 33℃

  • 목포 31℃

  • 여수 32℃

  • 대구 36℃

  • 울산 35℃

  • 창원 35℃

  • 부산 34℃

  • 제주 30℃

7월 첫주, 아파트 매매가 0.15%↑···상승폭 확대

7월 첫주, 아파트 매매가 0.15%↑···상승폭 확대

등록 2020.07.09 15:34

김성배

  기자

공유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대체투자처 부재 탓, 소형매물 위주로 강세세종·서울·수도권 급등···전셋값도 오름세 확대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정부의 부동산정책에도 아파트값 상승폭이 더 확대되고 있다. 저금리·대체투자처 부재 등으로 유동자금이 저가 매물 혹은 강남 재건축 단지 등으로 몰렸기 때문으로 풀이돤다.

한국감정원(원장 김학규)은 2020년 7월 1주(6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이 전주대비 0.15% 상승했다고 9일 밝혔다.

우선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16%→0.17%) 및 서울(0.06%→0.11%)의 상승폭이 확대됐고 세종시(1.48%→2.06%) 등의 집값 상승 영향으로 지방(0.10%→0.12%)도 상승폭이 확대됐다. 5대 광역시는 0.07%로 보합을 유지했다.

시도별로는 세종(2.06%), 경기(0.24%), 충남(0.20%), 경남(0.15%), 울산(0.14%), 서울(0.11%), 부산(0.11%), 대전(0.09%), 강원(0.09%) 등은 상승했고 제주(-0.10%)는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26→137개)은 증가, 보합 지역(15→14개) 및 하락 지역(35→25개)은 감소했다.

전세가격도 0.13%를 기록 전주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15%→0.17%)은 상승폭 확대, 서울(0.10%→0.10%) 및 지방(0.10%→0.10%)은 상승폭 동일(5대광역시(0.10%→0.08%), 8개도(0.08%→0.07%), 세종(0.81%→1.31%))됐다.

시도별로는 세종(1.31%), 울산(0.27%), 경기(0.24%), 대전(0.19%), 충남(0.12%), 서울(0.10%), 충북(0.10%), 경남(0.09%), 강원(0.08%) 등은 상승, 제주(-0.07%)는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25→130개)은 증가, 보합 지역(32→30개) 및 하락 지역(19→16개)은 감소했다.

관련태그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