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30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삼진제약 경영승계 본격화···오너2세 지분확보 ‘잰걸음’

삼진제약 경영승계 본격화···오너2세 지분확보 ‘잰걸음’

등록 2020.05.28 07:07

이한울

  기자

공유

공동 경영체제 삼진제약, 오너 2세들 지분확보조의환 회장, 두 아들에게 각각 17만 5000주 증여최승주 회장, 장녀 최지현 전무에게 30만주 증여2세대에도 공동 경영 체제 이어나갈 전망

삼진제약 경영승계 본격화···오너2세 지분확보 ‘잰걸음’ 기사의 사진

창업주 공동 경영 체제를 유지해 온 삼진제약의 2세 경영 체제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공동 창업주인 최승주 회장과 조의환 회장이 잇달아 보유 중인 주식을 자녀에게 증여하며 2세 경영 입지를 다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최대주주인 조의환 회장은 지난달 초 보유하고 있던 주식 15만 주를 장남인 조규석 전무와 차남인 조규형 상무에게 각각 7만5000주씩 증여했다. 조 회장은 이어 25일 각 10만주 씩 두 아들에게 또 다시 증여했다.

조 회장은 증여로 보유 주식수가 168만9322주(지분율 12.15%)에서 133만9322주(지분율 9.64%)로 줄었다. 두 형제들은 각각 17만5000주(지분율 1.26%)를 보유하게 됐다.

두 형제들은 삼진제약에서 재직한 기간은 9년 이상이지만 회사 지분을 보유하게 된 것은 처음이다.

최승주 회장도 지난 15일 삼진제약 주식 80만주를 장녀인 최지현 전무를 비롯한 친인척들에게 증여했다. 최 전무는 최 회장에게 30만주를 증여받았다.

최 전무는 지난해 10월 입사 10년만에 처음으로 장내매수를 통해 회사 지분을 사들였다. 최 전무는 10월 25일부터 11월 1일까지 6차례 장내매수를 통해 3만8692주를 취득해 0.28%의 지분을 확보한 바 있다. 이번 증여받은 주식까지 합치면 최 전무의 보유 주식수는 33만8692주(지분율 2.44%)로 늘어나게 됐다.

조 회장 두 아들과 최 회장 딸이 지분을 확보함으로써 2세 경영권 승계 작업이 본격화됐다는 관측이 나온다. 오너 2세 3명들은 2008~2010년부터 삼진제약에 입사해 경영 수업을 받고 있다.

조 회장의 두 아들의 지분율을 합치면 2.52%로 최 회장의 장녀 최 전무의 지분율 2.44%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업계에서는 조규석씨와 최지현씨가 2017년 말 동시에 상무로 승진한 데 이어 지난해 동시에 전무로 승진하고 지분도 비슷한 시기에 확보하면서 1세대에 이어 2세대도 양 집안이 공동경영에 대한 의지가 크다고 해석하고 있다.

삼진제약은 1968년 설립돼 1972년 대한장기식품을 인수하면서 삼진제약으로 이름을 바꿔 출발했으며, 약 50년간 함께 공동 경영을 이어오고 있다.

삼진제약은 올해 3월 전문경영인인 이성우 사장이 임기만료로 물러나고 2명의 전문경영인을 세워 4인 공동 경영체제를 구축했다 1941년생 동갑내기이자 공동 창업주인 조 회장과 최 회장 모두 2021년 3월 임기가 만료된다.

현재까지 진행 과정을 봤을 때 1세에 이어 2세에서도 공동 경영 체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 업계에 따르면 삼진제약은 최승주 회장과 조의환 회장이 지난 50여년간 큰 무리 없이 공동 경영 체제를 유지해왔다. 특히 두 사람의 오랜 친분과 회사 경영에 대한 신뢰가 깊어 2세들의 사이도 좋다고 알려져 있다.

향후 2세들이 경영을 맡게 될 경우 현재 근무하고 있는 분야를 담당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오너 2세 3명들은 2008~2010년부터 삼진제약에 입사해 조규석 전무는 경영관리, 최지현 전무는 마케팅, 조규형 상무는 기획·영업관리 등을 맡고 있다.

다만, 두 공동 창업주의 이번 증여에도 최대주주 권한은 변동 없이 조의환 회장이 유지중이다. 조 회장이 9.63%, 최 회장이 3.07%의 지분율로 차이를 보이고 있어 향후 2세간 지분율 차이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은 존재한다.

뉴스웨이 이한울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