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9일 수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공시지가 1위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보유세 2억원 추산

공시지가 1위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보유세 2억원 추산

등록 2020.02.12 17:06

이수정

  기자

공유

전국 상위 5위 내 부지 보유세, 7~13% 상승

공시지가 1위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보유세 2억원 추산 기사의 사진

올해 공시지가 상위 5개 필지 보유세는 10% 내외로 증가할 전망이다. 보유세 증가액 상한선(50%) 턱밑까지 오른 지난해에 비해, 올해 공시지가 상승폭이 크게 줄면서 상위 1~3위 부지만 10% 이상을 기록, 4~5위는 7%대 증가폭을 보였다.

우선 17년째 전국 공시지가 1위를 기록하고 있는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부지 보유세는 올해 13.5%(2497만원) 오른 2억956만원 수준으로 추산된다. 재산세는 1억4478만원, 종합부동산세는 6479만원이다.

2위를 기록한 명동 우리은행 부지 보유세는 지난해보다 13% 오른 5억5900만원으로 전망된다. 이 중 재산세는 3억2554만원, 종부세는 2억3346만원 수준이다.

이어 명동 유니클로 부지는 재산세 2억4081만원, 종부세 1억4491만원으로 총 3억8572만원을 보유세(11.3%↑)로 납부해야 한다. 전국 땅값 4위인 명동 토니모리 보유세는 지난해보다 7.2% 늘어난 6491만원(5372만원·1119만원)이다.

5위를 기록한 화장품 상점 VDL 매장은 재산세 4928만원, 종부세 876만원 등 총 5804만원의 보유세를 납부해야 한다. 이는 지난해대비 7.8% 오른 수치다.

국토부는 고가 토지를 제와한 나머지 99.6% 토지는 공시지가 변동률이 크지 않다며 건보료 및 복지 수급 자격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업계는 임대료 상승에 따른 소상공인들의 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공시지가 상승분이 지난해에 대비 둔화 됐지만 최근 몇 년간 누적 상승률을 봤을때 임대료 인상 압박 요인이 될 수 있다”며 “임대료 상승과 더불어 신종 코로나 사태가 이어진다면 소상공인에 대한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앞으로 국토부는 13일부터 다음 달 13일까지 시·군·구 민원실 또는 국토부 홈페이지를 통해 이의신청을 받는다. 국토부는 접수된 이의신청에 대해 재조사·평가 후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4월 10일 표준지 공시가격을 결정한다. 이를 바탕으로 각 지방자치단체는 개별 공시지가를 산정·공시할 예정이다.

뉴스웨이 이수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