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올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가 공동주관한 ‘블록체인 공공선도 시범사업’에 참여한 공공기관의 블록체인 서비스 출시가 본격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해 4월 과기부와 KISA는 국가기록원·방위사업청·병무청·부산광역시·서울의료원·서울특별시·식품의약품안전처·우정사업본부·전라북도·제주특별자치도·한국남부발전·환경부 등 총 12개 기관을 블록체인 공공선도 시범사업자로 선정한 바 있다.
선정된 기관들은 1년간의 연구 개발을 거쳐 올해 블록체인 서비스 상용화에 나선다. 해당 서비스가 상용화되면 이용자들은 더욱 간편하게 업무처리를 할 수 있을 전망이다.
예를 들면 병역 의무자는 간편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 지문인식이나 핀 번호만으로 쉽게 병무청에 로그인해, 자신의 병역 의무를 확인할 수 있다. 공공기관 고지서 역시 모바일로 받고 납부까지 한 번에 할 수 있게 된다. 보험 청구도 블록체인 의료정보 앱으로 모두 해결할 수 있다.
세계 최초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로 선정된 부산시 역시 올해 선정 2년 차를 맞아 산업 확대에 나선다. 블록체인 산업 육성 조례를 제정해 규제자유특구 사업을 강화하고 블록체인 산업지원센터 구축 및 블록체인전문대학원 설립도 계획 중이다.
부산시는 블록체인 산업화 산업을 ▲물류, 관광, 공공안전, 금융 4개 특구사업 실증 ▲특구사업과 국가시범 사업 연계 ▲블록체인 산업발전 기반 구축 ▲블록체인 전문인력 양성 ▲블록체인 규제와 제도 정비 ▲블록체인 기술 인식 제고로 구성했다.
디지털 지역화폐, 수산물이력관리, 관광서비스 등에 블록체인 기술을 확장·적용해, 생활 밀착형 블록체인 산업 성장을 촉진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상반기 중 블록체인 산업육성 조례를 제정할 방침이다.
제주도는 블록체인 특구 지정에 재도전한다. 원희룡 지사는 지난해 12월 ‘2019 블록체인 인 제주’ 포럼에 참석해 “미래 전략 산업 차원에서 적극적인 자세로 임하겠다”며 재도전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인천시 연수구와 미추홀구도 인하대와 함께 지역 중·고교 16곳 학생을 대상으로 블록체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한편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가상(암호)화폐에 가려진 블록체인 기술의 진면목이 드러나는 것”이라며 “블록체인 서비스 상용화를 위해선 더 많은 프로젝트가 샌드박스에 포함, 규제에서 자유로워져야 한다”며 말했다.
장가람 기자 j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