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8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조원태 회장 “항공업 집중한다”

조원태 회장 “항공업 집중한다”

등록 2019.11.20 09:34

수정 2019.11.20 10:31

이세정

  기자

공유

미국서 간담회···이익 안 나는 사업 구조조정 언급조 회장 “남매들끼리 맡은 분야 충실하기로 합의”델타 투자, 합의 없었다고 강조···재무개선 의지 밝혀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이 19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한진그룹 제공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이 19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한진그룹 제공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이 그룹 주력 계열사인 대한항공 중심의 항공산업에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익이 나지 않는 사업에 대해서는 구조조정 가능성을 언급했다.

조 회장은 남매들끼리 맡은 분야에서 충실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조 회장은 1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간담회열고 이 같이 말했다. 조 회장은 “항공운송과 관련된 사업 외에는 관심이 없다”며 “대한항공이 주축이고 이를 지원하는 사업 외에는 별로 관심이 없다”고 밝혔다.

조 회장은 현재의 경영환경에 대해 “있는 것 지키기도 어려운 환경”이라면서 “대한항공이 안정적으로 자리 잡으면 전체적으로 정리할 것이 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조 회장에 따르면 항공운송과 제작, 여행업, 호텔 등이 핵심 사업으로 간주된다. 그는 “이 외에는 별로 생각이 없다”면서 “구조조정 대상 가능성이 있는 사업에 대해 딱히 생각해본 것은 없지만 이익이 안 나면 버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직개혁이나 긴축경영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지금 말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연말 내에 할 것”이라고 답했다.

조 회장은 경영권 방어 문제와 관련한 질문에는 “최대 주주 지분은 선친 별세 이전과 같다”면서 “우호지분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쉽게 대응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평가했다.

조 회장은 델타항공이 경영권 방어와 관련해 우호 지분이냐는 질문에 “장기적 투자 관점에서 지분투자한 것이지 저희랑 논의한 적은 없다”면서 “3월 되면 알 것 같다. 그렇다고 반기를 들지는 않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3월은 내년 3월 주총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조 회장은 조 전 회장이 갑작스레 별세하면서 조 전 회장의 뜻에 따라 지분을 나눈 것은 아니라면서 “자기가 맡은 분야에서 충실하기로 세 명(세 자녀)이 같이 합의했다”고 강조했다. 이는 조 전 부사장이 경영 복귀에 나선다는 점을 전제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조 전 부사장은 지난해 칼호텔네트워크 대표이사로 복귀했지만 한 달 만에 퇴진한 바 있다.

그러면서 “경제가 많이 어렵고, 핵심인 대한항공이 많이 어렵다. 환율도 그렇고 경제도 그렇고 일본(한일관계)도 그렇고 힘들다”면서 “당분간 외부에서 오는 것에 대한 방어부터 좀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 전 회장 지분 상속에 따른 2700억원으로 추정되는 상속세 납부와 관련해서는 “지금 많이 어렵다. 1차분까지는 좀 넣었는데, 저는 소득이라도 있지만 다른 사람은 소득도 없어서 힘들어하고 있다”고 했다.

유족들은 연부연납 제도를 활용해 5년 동안 총 6차례에 걸쳐 상속세를 나눠 낼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460억원 규모는 납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시아나항공의 새 주인으로 HDC현대산업개발이 확정된 가운데 향후 대한항공에 미칠 영향에 대해 “큰 변화가 없을 것 같다. 기존 경쟁 구도는 그대로 갈 것”이라면서 “아시아나항공의 재무구조가 좋아질 테니 우리도 빨리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대응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 회장은 대한항공의 턴어라운드(실적회복) 시점에 대해서는 “내후년 초에나 돼야 할 것 같다”고 전망했다.

뉴스웨이 이세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