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하나금융투자 “금 가격 조정시 매수 전략 유효···해외ETF 주목”

하나금융투자 “금 가격 조정시 매수 전략 유효···해외ETF 주목”

등록 2019.10.07 08:26

허지은

  기자

공유

하나금융투자는 7일 급등 후 정체된 금 가격에 대해 “투자 차원에서 금 가격 조정 시 매수하는 전략이 유효하다”며 “불확실성이 높은 국면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규연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금 가격은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와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불확실성으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확대되며 지난 5월부터 9월말까지 약 15% 가량 상승했다”며 “금리의 기회비용 측면으로 금 수요가 늘어난 점도 금 가격 상승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주춤한 금 가격에 대해 전 연구원은 “금 가격은 온즈당 1400~1600달러 밴드 내에서 움직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미중 무역분쟁 불확실성이 주기적으로 부각될 수 있으며 글로벌 경기 우려도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부각시키고 있어서다. 여기에 주요국 중앙은행의 금리인하 사이클도 금 가격을 지지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그러나 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은 낮고 ETF 내 금 보유 규모와 금 선물 순매수 포지션이 큰 폭으로 오르며 기술적으로 금 투자가 과매수 구간에 진입해 있어 상단은 제한될 소지가 있다”고 말했다.

전 연구원은 “ETF 내 금 보유 규모가 늘어 나 투자 부담이 상존한다면, 금 가격과 상관성이 높은 업종을 투자 대안으로 고려해볼 수 있다”며 “MSCI World 업종별 금 수익률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최근 들어 대표적인 경기 방어 업종인 통신서비스, 유틸리티, 음식료·담배 업종과의 상관관계가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국내 ETF에 비해 유동성이 풍부한 해외 금 ETF 중 가장 규모가 크고 대표적인 종목은 SPDR Gold Trust(GLD), 보수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iShares Gold Trust(IAU), 금괴를 스위스에 보관하는 ETFS Physical Swiss Gold (SGOL) 등 다양한 ETF들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뉴스웨이 허지은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