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3월 29일 금요일

  • 서울 7℃

  • 인천 7℃

  • 백령 5℃

  • 춘천 11℃

  • 강릉 11℃

  • 청주 10℃

  • 수원 7℃

  • 안동 12℃

  • 울릉도 13℃

  • 독도 13℃

  • 대전 9℃

  • 전주 9℃

  • 광주 11℃

  • 목포 11℃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5℃

  • 창원 14℃

  • 부산 14℃

  • 제주 12℃

아시아나항공 매각전, 에어서울 ‘면허취소’ 돌발변수 부상

아시아나항공 매각전, 에어서울 ‘면허취소’ 돌발변수 부상

등록 2019.08.30 13:36

이세정

  기자

자본잠식률 50% 이상시 재무개선 명령지난해 60% 돌파···국토부 사정권 들어성장세 둔화·日 보이콧 등 영업 어려워최악의 경우 2022년 면허취소 될 수도인수자, 추가 자금지원 불가피···부담 가중

아시아나항공 매각전, 에어서울 ‘면허취소’ 돌발변수 부상 기사의 사진

에어서울이 아시아나항공 매각전 흥행의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항공법 개정안 시행에 따라 최악의 경우 면허취소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면허를 유지하려면 지속적인 자금 투입이 불가피한 만큼, 인수 후보자들의 고심이 깊어지는 모습이다.

30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지난 27일 개정된 ‘항공사업법 시행령·규칙’에 따라 완전자본잠식(자기자본 0) 상태거나 50% 이상 자본잠식이 1년 이상 지속될 경우 재무구조 개선명령을 내릴 수 있다. 개선명령을 내리고 난 뒤 50% 이상 자본잠식이 2년 이상 지속될 경우, 항공운송사업 면허를 취소할 수 있다.

개정안은 기존 항공사업법보다 면허취소 기준이 강화됐다. 개정 전에는 자본잠식률 50% 이상이 2년 이상 지속될 경우 재무구조 개선명령이 가능했다. 또 명령 이후 3년간 자본잠식률 50% 이상 상태가 계속돼야 면허를 취소할 수 있었다. 하지만 개정안은 이전 기준보다 1년씩 단축됐다.

개정안 시행은 오는 2020년 2월28일부터다. 국토부는 이미 2017년 이 같은 내용을 각 항공사에 설명하고, 관련 공문을 발송했다. 2018년 1분기에 발표된 항공사별 ‘2017년 감사보고서’부터 항공사의 재무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에어서울은 2015년 창립해 2016년 10월부터 첫 운항을 시작했다. 2017년 말 기준 자본잠식률은 47.7%로 우려할 상황이 아니었지만, 지난해 말 63.4%로 15.7%포인트 급증하면서 국토부 사정권 안에 들었다. 부채비율은 2017년 366.6%에서 지난해 971.8%로 늘었다.

문제는 자본잠식률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창립 후 적자 폭을 개선하고 있지만, 올해도 흑자전환은 힘들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항공업 성장세가 둔화되기 시작했고, 일본행 여행 수요 감소에 따라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다.

에어서울은 아시아나항공이 100% 출자해 설립한 저비용항공사(LCC)다. 아시아나항공의 비수익 노선을 이관받아 운항하던 에어서울은 일본 소도시를 중심으로 노선을 늘려왔다. 전체 노선의 60% 이상을 일본 노선으로 채웠고, 매출의 절반 이상이 여기서 나온다.

비상장사인 에어서울의 올해 2분기 실적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적자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 악화와 원달러 환율 상승, 업체간 경쟁 심화 등 대대적인 악재가 맞물리면서 6개 상장 항공사 모두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LCC업계 맏형 제주항공이 20분기 만에 첫 적자를 낼 만큼 영업환경은 좋지 않았다.

7~8월 여름 휴가철이 낀 3분기에도 적자 탈출은 힘들어 보인다. 일본 보이콧이 본격화되면서 직격탄을 맡고 있기 때문. 지난달 말 기준 에어서울의 8월 예약률은 45%, 9월 예약률은 25%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각각 30%포인트, 20%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에어서울은 내년 초 발표되는 감사보고서에서 올해 자본잠식률이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나면, 국토부로부터 재무구조 개선명령을 받게 된다. 2년 뒤인 2022년까지 개선의 여지가 보이지 않는다면 면허취소를 받을 수밖에 없다.

에어서울이 아시아나항공 매각 흥행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 배경이다. 에어서울이 자체적으로 자본잠식률을 낮출 방법은 많지 않다. 부동산 등 매각할 자산도 마땅치 않다. 아시아나항공 인수 주체가 추가적으로 자금을 투입해야 한다는 얘기다. 실제 에어서울의 2017년 자본잠식률이 50%를 넘지 않은 것은 아시아나항공의 지원 덕분이다. 당시 아시아나항공은 25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했다.

아시아나항공 매각전이 흥행에 실패할 경우, 정부가 분리매각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KDB산업은행 등 채권단은 통매각을 원칙으로 하지만, 원매자가 원할 경우 협상하겠다며 여지를 남겨뒀다.

업계에서는 분리매각이 추진되면 에어부산과 에어서울 등 LCC로 인수 후보자들이 대거 몰릴 것이라고 본다. 아시아나항공에 비해 규모가 크지 않아 운영이 수월할 것이란 판단에서다. 약 2조원대로 추정되는 아시아나항공 인수 대금에 대한 부담이 없다는 점도 강점이다.

항공업계 한 관계자는 “에어서울의 자본잠식률을 낮추기 위해 끊임없이 지원금을 넣어줘야 한다는 점은 인수전 참가의 고려대상이 될 수 있다”면서 “다만 아시아나항공과 계열사를 통째로 사들인 이후 에어서울만 따로 떼 내서 파는 방법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세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