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암울한 성적표’ 2018년 10대 그룹 시총 179조 증발

‘암울한 성적표’ 2018년 10대 그룹 시총 179조 증발

등록 2019.01.02 17:25

이지숙

  기자

공유

삼성그룹 작년 한해에만 시총 108조5085억 날라가LG·SK·현대차·한화·신세계그룹 시총 10% 이상 감소삼전 주가 하락에 이건희 회장 지분평가액 4조8948억↓정몽구·최태원·이명희 회장 지분평가액 20% 이상 감소

‘암울한 성적표’ 2018년 10대 그룹 시총 179조 증발 기사의 사진

국내 증시의 큰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10대 그룹의 시가총액이 1년새 약 20% 가량 증발한 것으로 조사됐다.

작년 12월28일 폐장일 기준 국내 10대 그룹 계열사의 시가총액 총 합계는 748조3175억원으로 연초(1월2일) 대비 179조4915억원(19.35%)이 감소했다.

각 그룹별로 살펴보면 코스피 전체 시가총액의 33%가량을 차지하는 삼성그룹의 부진이 큰 영향을 줬다.

16개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는 삼성그룹의 시가총액은 작년 1월2일 477조3683억원에서 12월28일 368조8598억원으로 1년새 무려 108조5085억원(22.73%)이 사라졌다.

코스피 대장주 삼성전자 시총이 329조3303억원에서 231조306억원으로 29.85% 급감했으며 삼성생명(-33.39%), 삼성물산(-17.25%), 호텔신라(-10.63%), 삼성카드(-11.41%) 등 주요 계열사가 줄줄이 하락세를 보였다.

삼성중공업(58.87%), 삼성엔지니어링(34.87%), 제일기획(9.76%) 등 8개 계열사의 시가총액이 증가했으나 삼성전자의 부진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SK그룹도 총 17개 상장 계열사 중 14개 계열사의 시가총액이 연초대비 쪼그라들었다.

코스피 시총 2위의 SK하이닉스가 연초 55조7650억원에서 44조441억원으로 시가총액이 11조7209억원(-21.02%) 줄었고 에스엠코어(-51.40%), SK디스커버리(-45.28%), SK네트웍스(-23.19%), SKC(-23.01%) 등도 부진했다. 1월5일 상장한 SK케미칼도 상장 당일 대비 시가총액이 34.88% 빠진 상태다.

LG그룹도 LG유플러스와 로보스타를 제외한 10개 종목이 줄줄이 내리막길을 걸었다. LG그룹 시총은 22조5136억원(-21.51%) 감소한 82조1656억원으로 조사됐다.

LG유플러스 시총은 연초 대비 25.62% 오르며 1년새 비상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LG전자(-43.10%), LG이노텍(-40.41%), LG디스플레이(-30.53%) 등 주요 계열사 시총은 30% 이상 미끄러졌다.

현대자동차그룹도 1월2일 시가총액 93조4969억원에서 14조589억원 감소한 79조4380억원으로 1년을 마무리했으며 포스코그룹과 롯데그룹도 각각 20.74%, 7.20% 하락한 28조3845억원, 27조2894억원이었다.

‘암울한 성적표’ 2018년 10대 그룹 시총 179조 증발 기사의 사진

한화그룹은 7개 계열사의 시가총액이 연초대비 모두 하락하며 10대 그룹사 중 시가총액 감소폭이 가장 컸다. 한화그룹 시가총액은 연초대비 5조8931억원(-32.53%) 줄어든 12조2238억원으로 집계됐다.

신세계그룹 또한 시가총액 비중이 큰 이마트와 신세계가 1년새 시총이 각각 2조2162억원(-30.34%), 3347억원(-11.72%)가량 줄며 연초대비 1조9053억원(-16.13%) 감소한 9조9053억원이었다.

반면 현대중공업그룹은 연초대비 시총이 8791억원(5.02%) 늘어난 18조3831억원이었고 GS그룹은 1234억원(0.97%) 증가한 12조8922억원으로 연초대비 큰 변화가 없었다.

한편 10대 그룹주가 휘청이며 각 기업 지분을 보유한 오너들의 지분 평가액도 크게 줄었다.

주식부호 1위인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지분평가액은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생명 등의 주가 하락에 작년 1월2일 18조5237억원에서 12월28일 13조6289억원으로 4조8948억원(-26.42%)이 빠져나갔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지분평가액 또한 보유한 삼성물산, 삼성생명, 삼성전자 등의 주가 하락에 1조2132억원(-15.53%) 감소한 7조8132억원으로 나타났다.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지분평가액도 각각 21.69%, 27.58% 줄어든 3조6764억, 3조3759억원이었다.

현대중공업 지주 지분 25.8%를 가진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의 지분평가액도 16.53% 감소한 1조4539억원, 이명희 신세계 회장도 1조3864억원으로 연초대비 25.67% 줄었다.

이에 반해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과 허창수 GS그룹 회장은 지분평가액이 각각 3.85%, 12.25% 늘어난 1조2827억, 5522억원으로 조사됐다.

올해 LG그룹의 총수를 맡은 구광모 회장은 지난 11월 선친인 고 구본무 회장이 보유했던 LG 주식을 상속받아 지분평가액이 연초 9769억원에서 1조8091억원으로 급증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