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재신임’ 앞둔 함영주, 하나·외환 ‘화학적 결합’ 이뤄낼까?

‘재신임’ 앞둔 함영주, 하나·외환 ‘화학적 결합’ 이뤄낼까?

등록 2018.12.20 17:41

수정 2018.12.20 18:36

차재서

  기자

공유

노사, 舊하나·외환은행 인사통합 막바지 직급 일원화하고 급여·복지체계도 통합‘KEB하나은행 출범’ 후 3년 만의 성과함영주 행장 연임가도에도 탄력붙을 듯

사진=KEB하나은행 제공사진=KEB하나은행 제공

이른바 ‘화학적 결합’으로 불리는 KEB하나은행의 인사제도 통합작업이 조만간 그 결실을 맺을 전망이다. 내년 재신임을 앞둔 함영주 행장에게도 더 없이 중요한 사안인 만큼 KEB하나은행이 진정한 통합의 ‘마지막 퍼즐’을 맞출지 주목된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KEB하나은행 노사는 연내 ‘옛 하나·외환은행’ 간 인사제도 통합을 목표로 막바지 논의를 진행 중이다. 타협안을 도출하더라도 조합원 설명회와 찬반투표 등 절차를 거쳐야 하는 만큼 이르면 이번주 논의를 끝낼 것이란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KEB하나은행에 옛 하나은행과 외환은행 간 인사제도 통합은 그야말로 숙원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지난 2015년 공식 출범 이래 2016년 전산 통합, 2017년 통합 노조 구성 등으로 내부 결속력을 다졌지만 복지·급여체계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면서 조직 통합이 지연되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기 때문이다. 임금과 직급체계, 복지시스템 등이 두 개로 운영되면서 직원 사이에 위화감이 조성되고 있다는 얘기도 많았다.

대표적인 게 직급 체계다. 하나은행 출신은 직급이 ‘행원-대리-과장-차장-관리자’ 순인 반면 외환은행 출신은 ‘계장-대리-과장-차장대우-차장-부점장’ 순으로 구성됐다. 이로 인해 직급별로 승진테이블이 달랐던 것은 물론 받는 연봉에도 차이를 보였다. 성과급이나 복지 시스템도 마찬가지다.

이에 KEB하나은행 노사는 지난 5월 ‘태스크포스팀(TFT)’을 꾸린 뒤 인사제도 통합안 마련에 착수해왔다. 당초 업계에서는 이들이 KEB하나은행의 출범 만 3년째인 지난 9월엔 통합작업을 마무리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조율할 내용이 많은데다 직급별 이해관계까지 얽혀 있어 생각보다 시간이 걸리고 있다는 후문이다.

그럼에도 직급체계를 ‘행원B-행원A-책임자-관리자’로 일원화하다는 데는 노사가 큰 틀에서 합의를 본 상황이라 대체로 전망은 밝다. 인사제도의 핵심인 직급체계가 조율됨에 따라 임금이나 복지 등 다른 문제도 순조롭게 풀릴 것으로 예상된다.

또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을 받고 일해온 ‘2차 정규직’ 2100여명에 대한 처우 문제도 이번 논의의 주요 관심사다.

이번 협상은 함영주 행장에게도 더 없이 중요한 작업일 것으로 보인다. 그가 ‘통합 KEB하나은행’의 초대 수장인데다 내년 2월 두 번째 임기를 마친 뒤 ‘재신임’을 받아야 하는 입장이라서다. 이미 은행의 연이은 실적행진으로 경영능력은 충분히 입증한 만큼 인사제도 통합까지 이뤄낸다면 함 행장의 연임 가도엔 탄력이 붙을 공산이 크다. 실제 KEB하나은행은 지난해 2조1122억원의 순이익을 올린 데 이어 올 3분기까지도 1조7576억원의 누적 순이익으로 통합 이후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이와 관련 KEB하나은행 노조 관계자는 “비록 일부 사안에 이견이 있지만 장기간 논의를 거치면서 노사 간 공감대는 형성된 상황”이라며 “일정을 고려해 최대한 빨리 결론을 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