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지구온난화, 대처 안하면 2035년 ‘데드라인’ 넘어”

“지구온난화, 대처 안하면 2035년 ‘데드라인’ 넘어”

등록 2018.09.01 19:15

이보미

  기자

공유

사진=뉴스웨이DB사진=뉴스웨이DB

지금 당장 지구온난화에 단호하게 대처하지 않으면 2035년에 ‘돌아올 수 없는 선’을 넘을 거라고 과학자들이 경고했다.

1일 유럽지구과학연맹 저널 ‘지구시스템 역학(Earth System Dynamics)’에 따르면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학 해양역학 교수인 헨크 데이크스트라 박사 연구팀은 기후변화 모델을 토대로 인류가 재생에너지를 늘려 온실가스 방출을 줄일 수 있는 양에 따라 강력한 온난화 방지노력을 시작할 수 있는 데드라인을 산정한 결과, 2035년이 한계점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지구 온난화를 피하기 위한 강력한 노력을 시작할 수 있는 최종 시한을 ‘돌아올 수 없는 선’으로 정의했다.

연구팀은 2100년까지 기온상승을 1.5도 제한하려는 것도 이미 돌아올 수 없는 선을 넘어 지금 당장 극단적인 조처를 하지않으면 불가능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또한 인류가 매년 2%씩 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릴 수 있을 때 이를 시작할 수 있는 최종 시한이 2035년이며, 재생에너지를 5%씩 늘릴 수 있으면 그 시한은 10년 더 연장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재생에너지 비중이 1990년대 말 이후 20년 가까이 흘렀지만 2017년 현재 3.6%에 그칠 정도로 느리게 증가한 점을 고려할 때 연구팀이 상정한 매년 2~5% 증가는 특단의 조치 없이는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을 이용해 대기 중 온실가스를 제거할 경우 이 시한을 6~10년 늦출 수도 있는 것으로 연구팀은 밝혔다.

데이크스트라 교수는 “‘최종 시한 제시’가 정치인이나 정책 입안자들에게 시급성을 갖고 행동에 나서게 하는 자극이 되길 바란다”면서 “파리협정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시간이 매우 적게 남아있다”고 강조했다.

뉴스웨이 이보미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