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작년 한류 문화콘텐츠 수출 3.2兆···게임수출이 절반 넘어

작년 한류 문화콘텐츠 수출 3.2兆···게임수출이 절반 넘어

등록 2016.04.10 15:16

현상철

  기자

공유

문화콘텐츠·소비재·관광 합쳐 8조원 수출수출비중은 게임-증가율은 영화가 커생산유발효과 게임-관광 순으로 조사캐나다·멕시코 시장확대 가능성 높아

한류로 인한 문화콘텐츠 상품 수출효과(자료 = 코트라 제공)한류로 인한 문화콘텐츠 상품 수출효과(자료 = 코트라 제공)


지난해 한류의 문화콘텐츠 수출효과가 3조2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게임 수출이 전체 수출액의 절반이 넘어섰고, 영화 수출은 전년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코트라가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과 함께 발간한 ‘2015년 한류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서 지난해 한류 문화콘텐츠 수출은 전년보다 13.4% 증가한 28억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10일 밝혔다.

수출액 기준으로는 게임이 16억4000만 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58%를 차지해 가장 큰 비중을 보였다. 증가율로는 영화가 전년보다 222%, 방송·음악 30.7%로 조사됐다.

문화콘텐츠, 소비재, 관광분야를 합한 전체 수출액은 70억3000만 달러(약 8조원)로 전년보다 2.2% 증가했다.

한류의 생산유발효과는 매년 증가추세다. 2012년 13조602억원에서 2013년 13조8315억원, 2014년 14조2915억원, 지난해 15조6124억원이다.

생산유발효과가 가장 큰 분야는 게임으로 2조7189억원이었고, 관광이 2조181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영화의 생산유발효과는 1740억원이었지만, 증가율은 전년보다 245.9% 성장했다.

보고서는 한류시장 확대 가능성이 높은 국가로 캐나다와 멕시코를 지목했다. 캐나다는 외국문화 수용도가 높고, 최근 화장품, K-Pop으로 관심분야가 확대돼 잠재력이 높다고 분석했다. 멕시코는 한식, K-Pop 등 특정분야에서 상대적으로 호감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병석 KOTRA 신사업지원실장은 “이번 보고서는 한류로 인해 직접적인 수출 효과를 얻고 있는 산업과 국가를 체계적으로 분석해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중소기업의 수출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국가별 한류연계 마케팅 기회요인을 적극 발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세종=현상철 기자 hsc329@

관련태그

뉴스웨이 현상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