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6일 금요일

  • 서울 12℃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9℃

  • 강릉 17℃

  • 청주 11℃

  • 수원 10℃

  • 안동 9℃

  • 울릉도 15℃

  • 독도 15℃

  • 대전 10℃

  • 전주 11℃

  • 광주 11℃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2℃

  • 울산 12℃

  • 창원 13℃

  • 부산 14℃

  • 제주 13℃

1분기 소비성향 12년來 최저···“가계 지갑 닫았다”

1분기 소비성향 12년來 최저···“가계 지갑 닫았다”

등록 2015.05.22 15:23

김은경

  기자

통계청, ‘2015년 1분기 가계동향’ 발표

올 1분기 가계 소비성향이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후 1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유가로 지출 규모가 줄어든 데다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후 대비 필요성 증가로 가계의 지갑문이 꽁꽁 닫힌 탓이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1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올 1분기 평균 소비성향은 전년동월대비 2.1% 줄어든 72.3%로 집계됐다. 이는 1분기 기준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지난 2003년 이후 최저치다.

가구당 처분가능소득은 366만8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기 가계 흑자액은 101만5000원을 기록하며 사상 첫 100만원을 돌파했다. 평균소비성향은 전 소득분위에서 감소세를 보였으나, 2분위(-3.1%포인트)의 감소폭이 가장 컸다.

1분기 전국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51만7000원으로, 전년동월대비 2.6% 증가했다. 물가상승을 제외한 실질소득으로는 2.0% 늘었다. 구체적으로 근로소득(3.8%), 이전소득(10.4%), 재산소득(17.9%)이 증가한 반면 사업소득(-4.6%)은 감소했다.

가구당 월평균 지출은 1분기에 350만2000원으로 작년 1분기보다 0.2% 늘어나는데 그쳤다. 소비지출은 265만3000원으로 지난해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비소비지출은 84만9000원으로 1.0% 증가했다. 다만 기재부는 유가 하락 요인을 제외하면 가계지출은 1분기에 0.8% 증가했을 것으로 봤다.

항목별 소비지출을 보면 식료품·비주류음료 부문은 35만1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 증가했다. 음식·숙박 지출은 외식 증가로 32만6000원으로 3.8% 올랐다. 보건비 지출은 17만9000원으로 4.0% 증가했다.

주거·수도·광열 부문 지출도 33만6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 증가했다. 주거용 연료비가 감소했으나, 월세 상승으로 주거비가 대폭 올랐다. 담뱃값 인상 여파로 담배 지출은 1만7000원으로 10.3% 증가한 반면 주류 지출은 1만원으로 0.3% 감소했다.

통신비 지출이 14만6000원으로 8.4% 대폭 감소했다. 교통비 지출이 유가하락에 따른 연료비 감소로 31만6000원으로 4.5% 줄었다. 가정용품·가사서비스 지출이 9만5000원으로 3.0% 감소했다.

교육비 지출도 34만3000원으로 1.6% 감소했다. 보험 등 기타상품·서비스 지출도 22만5000원으로 2.1% 증가했다.

1분기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은 84만9000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0% 증가했다. 이 가운데 취업자 및 사회보험 가입자 증가, 보험료 인상 등의 영향으로 경상 조세가 7.0%, 사회보험이 5.0%, 연금이 4.4% 각각 증가했다.

반면 이자율 하락으로 이자비용이 9.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부금 등의 비영리단체로의 이전도 1.3% 줄었다. 경조사비를 포함한 가구간 이전지출도 0.3% 감소했다.

소득분배 지표는 개선세를 보였다.

지난해 전체가구에 대한 지니계수는 0.302로 통계를 시작한 2006년 이후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한 작년과 같았다. 지니계수는 소득이 어느 정도 균등하게 분배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이 심하다는 의미다.

1분위(하위 20%) 계층 대비 5분위(상위 20%) 계층의 소득을 나타내는 소득 5분위배율은 5.41배를 기록했다. 2006년 5.38배를 기록한 이후 8년 만에 최저치다. 중산층(중위소득 50∼150%) 비중은 60.2%로 전년(60.1%)보다 0.1%포인트 소폭 상승했다. 상대적 빈곤율은 14.4%로 전년과 견줘 0.2%포인트 줄었다.

김은경 기자 cr21@

뉴스웨이 김은경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