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김우중·윤석금 회장 이어 강덕수까지···‘샐러리맨 영웅’들의 몰락

김우중·윤석금 회장 이어 강덕수까지···‘샐러리맨 영웅’들의 몰락

등록 2013.05.03 18:08

수정 2013.05.03 18:09

정백현

  기자

공유

‘샐러리맨 성공신화’의 주인공이던 강덕수 STX그룹 회장이 12년 만에 쓴잔을 들이켰다. 그는 STX그룹을 살리기 위해 STX조선해양 등 주요 계열사의 지분을 채권단 측에 넘겨야 할 상황에 놓였다.

쌍용양회 평사원 출신으로 쌍용중공업(현 STX)의 CFO를 맡았던 강 회장은 2001년 쌍용중공업, 대동조선(현 STX조선해양), 산단에너지(현 STX에너지), 범양상선(현 STX팬오션) 등을 잇달아 사들여 STX그룹을 만들었다.

거침없는 M&A와 조선·해운업의 활황으로 STX그룹은 재계 13위의 거대 재벌이 됐다. 그러나 2009년 이후 조선·해운업이 심각한 불황을 맞으면서 관련 산업을 주력으로 하는 STX그룹은 유동성 위기에 시달리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강덕수 STX그룹 회장.사진 왼쪽부터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강덕수 STX그룹 회장.


강 회장의 추락은 ‘샐러리맨 신화’의 원조 격인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과 너무나 닮았다.

1960년 한성실업의 평사원으로 입사한 김 회장은 1967년 자본금 500만원으로 대우실업을 창업한 뒤 국내 5대 재벌 기업인이 됐다. 그러나 대우그룹은 1997년 무리한 사업 확장과 외환위기의 영향으로 위기를 맞았고 2년 뒤 해체됐다.

백과사전 영업사원 출신인 윤 회장은 1980년 자본금 7000만원으로 헤임인터내셔널(현 웅진씽크빅)을 만들었고 ‘웅진아이큐’ 등으로 대박을 터뜨렸다. 그러나 웅진그룹은 과도한 M&A와 폴리실리콘 등 신규 사업 불황의 영향으로 위기를 맞았고 결국 해체됐다.

이들 기업인의 추락은 모두 무리한 기업 확장과 차입경영이 주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기업을 불리기 위해 무작정 돈을 끌어다 쓰고 본래의 전문성과는 거리가 먼 기업을 마구 인수해 기업의 체질을 악화시켰다는 지적이다.

재계 안팎에서는 강덕수 회장의 부활을 위한 선결조건으로 ‘백의종군’과 ‘전문성 강화’를 꼽고 있다. 기득권을 버리고 창업 당시의 자세로 잘 해온 사업에만 ‘올인’한다면 다시 살아날 수 있다는 뜻이다.

모범 사례도 있다. 박병엽 팬택 부회장이다. 박 부회장도 맥슨전자 영업사원 출신으로 1991년 팬택을 창업해 휴대전화 시장에서 승승장구했으나 모토로라에 밀려 쓴맛을 본 뒤 무너지고 말았다.

박 부회장은 채권은행을 일일이 찾아다니며 눈물로 도움을 호소했고 보유 주식과 부회장 직함을 내놓는 등 ‘백의종군’했다. 박 부회장의 과감한 움직임에 팬택은 부활했고 스마트폰 전문화 전략을 앞세워 과거의 상처를 지우고 있다.

재계 관계자들은 “강 회장도 박 부회장처럼 체면을 버리고 백의종군해야 한다”며 “STX그룹의 정상화를 채권단에 올곧이 위임하고 정리할 것은 과감하게 정리해야 강 회장이 부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백현 기자 andrew.j@

뉴스웨이 정백현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