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우리금융 1년내 매각한다···‘분할 매각’ 유력

우리금융 1년내 매각한다···‘분할 매각’ 유력

등록 2013.04.19 11:00

수정 2013.04.19 11:12

최재영

  기자

공유

우리금융지주 민영화와 관련해 분할 매각도 진행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덩치가 워낙 커져 일괄매각 방안이 유리 할 수 있다는 견해다. 또 내년 안에 민영화를 마무리 짓겠다는 계획도 나왔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18일 기자간담회에서 기자들에게 우리금융지주 민영화와 관련해 국회에서 답변한 ‘메가뱅크’와 달리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겠다고 했다. 일각에서 제기한 분할 판매에 대해서도 진행할 수 있다는 뜻이다.

신 위원장은 “일괄매각해서 지주회사로 가는 것에 대한 제약이 상당히 많다”며 “국회에서 말한 메가뱅크는 하나의 대안에 불과하고 규모도 크게 제약도 많아서 여러 가지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 위원장 발언을 종합하면 일괄매각보다는 분할매각이 유리할 것이라는게 업계의 설명이다.

우리금융지주는 현재 분사한 우리카드를 포함해 총 13개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다. 그동안 우리은행은 3번의 민영화 작업을 진행했지만 번번히 실패한 이유가 ‘일괄매각’ 때문이라고 보는 시선이 많았다.

한 금융계 관계자는 “우리금융은 워낙 덩치가 커져버려 일괄매각하기에는 상당히 부담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며 “가장 큰 대안으로 분할매각이 우선시 돼 왔었는데 글로벌 금융사로 만들기 위해서 일괄매각이 우선 진행됐다”고 말했다.

현재 사의를 표명한 이팔성 우리금융지주 회장은 그동안 “분할보다는 일괄매각을 가야 한다”고 고집해온 사례를 본다면 앞으로 분할 매각이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분할매각으로 계열사인 광주은행과 경남은행을 분리하는 방안은 전 정부에서도 제시된 상황이었다. 경남은행의 경우 홍준표 경남도지사까지 나서 “우리금융지주는 경남은행을 분리해 지역주민에게 돌려줘야 한다”고 밝혔다.

경남에는 이미 공적자금 회수율이 90%를 넘은 만큼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경남은행 되찾기 운동’을 벌이고 있다.

우리금융이 분할 매각으로 진행될 것이라는 이유는 또 있다. 국민주 방식 때문이다.

이날 정찬우 금융위 부위원장 역시 우리금융 매각과 관련해 “국민주 방식은 진행하지 않는다”고 못 박았다.

우리금융지주는 워낙 덩치가 커진 만큼 일괄매각과 관련해 ‘국민주’로 진행해야 한다는 일각의 주장을 반박한 것이다.

금융위는 정권초에 민영화를 마무리 짓겠다는 계획이다.

신 위원장은 “더이상 끌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며 “정권 초기에 시작해야지 후반기로 갈수록 추진동력이 떨어진다. 금융위는 우리금융 민영화가 이번이 마지막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최재영 기자 sometimes@

뉴스웨이 최재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