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국내 연구진, 전류가 흐르는 절연막 개발

국내 연구진, 전류가 흐르는 절연막 개발

등록 2013.12.01 14:52

김은경

  기자

공유

실리콘 산화막을 통해 수소를 매개체로 전기가 흐르는 메카니즘(왼쪽), 실제 실리콘 산화막 위에 촉매로 쓰일 수 있는 나노 입자를 아무런 추가 물질 없이 제조하는 과정(오른쪽) 자료=미래창조과학부 제공실리콘 산화막을 통해 수소를 매개체로 전기가 흐르는 메카니즘(왼쪽), 실제 실리콘 산화막 위에 촉매로 쓰일 수 있는 나노 입자를 아무런 추가 물질 없이 제조하는 과정(오른쪽) 자료=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국내 연구진이 모래와 유리의 성분이자 절연체인 산화실리콘(SiO₂) 박막에 특정 조건을 가해 전류를 흐르게 하는 기술을 발견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정택동 서울대학교 화학부 교수팀이 모래와 유리의 성분이자 절연체인 산화실리콘(SiO2) 박막을 통해 특정 조건에서 절연체 박막 상의 전기화학적 반응들을 유도할 수 있는 절연막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그동안 산화실리콘과 같은 산화물은 절연체로 전극으로는 사용되지 않았다.

하지만 국내연구진은 산화막 안에서 전자 대신 양성자가 투과할 수 있다는 것에 착안, 산화막으로 덮인 전극을 산성 수용액 전해질에 담근 후 전압을 가해 용액에서 산화막 안으로 이동해 들어간 수소 이온의 환원을 통해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발견했다.

즉 절연막인 산화막을 사이에 두고 수소를 매개체로 전기화학 반응이 일어난 것이다. 이를 통해 터널링 현상에 주로 의존하던 종래의 절연막 물성에 개념상의 전환이 일어났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진은 환경·에너지·전자산업·바이오센서 등 광범위한 분야에 다양한 원천 기술들이 쏟아져 나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생활 속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절연체인 산화막을 전자소재 및 촉매 등에 값싸게 응용, 적용하려는 연구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에서 발간하는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지 11월호(11월 12일자 온라인)에 게재됐다.

김은경 기자 cr21@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은경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