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M 검색결과

[총 226건 검색]

상세검색

D램 불붙고 HBM 타오른다···삼성·하이닉스 '천장 모르는' 질주

전기·전자

D램 불붙고 HBM 타오른다···삼성·하이닉스 '천장 모르는' 질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천장을 모르는 질주가 지속되고 있다. 인공지능(AI)이 불러온 반도체 업황의 슈퍼사이클 덕이다. 고대역폭메모리(HBM)를 향한 수요는 공급을 앞지르고 있는 가운데 잠자던 범용 D램까지 들썩이며 품귀 현상을 겪고 있다. 올해 3분기 나란히 호실적을 기록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대한 4분기 실적 눈높이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다. 이들이 분기 영업이익 14조원대를 달성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12일 에프앤가이

SK하이닉스 곽노정 "새 비전에 풀 스택 AI 메모리 크리에이터"

전기·전자

SK하이닉스 곽노정 "새 비전에 풀 스택 AI 메모리 크리에이터"

"지금까지 SK하이닉스는 고객이 원하는 좋은 제품을 최적의 시점에 공급해왔습니다. 그 결과 SK하이닉스는 '풀 스택 AI 메모리 프로바이더'로서 선도적인 글로벌 기업으로 확고한 입지를 다졌습니다."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은 3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SUMMIT(서밋) 2025'에서 SK하이닉스의 새로운 비전을 선포했다. "SK하이닉스, 메모리 분야 1위…새 비전 발표" 곽 사장은 이날 'AI 시대, SK하이닉

엔비디아 문턱 넘은 삼성전자 HBM, 반도체 실적 회복 신호탄

전기·전자

엔비디아 문턱 넘은 삼성전자 HBM, 반도체 실적 회복 신호탄

올해 상반기까지만 하더라도 기를 펴지 못했던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이 기지개를 펴고 있다. 인공지능(AI)이 불러온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메모리 부문은 물론 적자를 지속해왔던 비메모리 부문까지 경쟁력을 회복하는 모양새다. 특히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 실적발표 자리를 통해 엔비디아에 HBM3E 제품을 납품하고 있다는 점도 사실상 공식화했다. 삼성전자는 30일 올해 3분기 기준 매출액 86조1000억원, 영업이익 12조2000억원을 기록했다는 실

더보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