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
LS일렉, 북미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사업 수주···1100억 규모
LS일렉트릭이 최근 북미 AI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프로젝트를 잇달아 수주하며 1100억원 규모의 변압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 회사는 내년부터 2028년까지 대형 데이터센터에 배전 변압기 등 전력 공급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며, 글로벌 공급망 불안과 미국 관세 인상에도 프로젝트 수행 역량을 인정받아 시장 입지를 높이고 있다.
[총 273,066건 검색]
상세검색
전기·전자
LS일렉, 북미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사업 수주···1100억 규모
LS일렉트릭이 최근 북미 AI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프로젝트를 잇달아 수주하며 1100억원 규모의 변압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 회사는 내년부터 2028년까지 대형 데이터센터에 배전 변압기 등 전력 공급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며, 글로벌 공급망 불안과 미국 관세 인상에도 프로젝트 수행 역량을 인정받아 시장 입지를 높이고 있다.
에너지·화학
産銀이 건져낸 여천NCC···한화·DL, '백기' 들었지만
여천NCC가 산업은행의 압박으로 한화와 DL의 3000억원 출자전환에 합의하며 채무불이행 위기에서 벗어날 전망이다. 그러나 대주주들이 채권단의 중재 없인 결단을 내리지 못하는 상황이 반복되며 시장에서는 책임 회피와 위기관리 부재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 석유화학 제품 공급가 조정도 병행될 예정이다.
게임
[지스타2025]韓 게임산업 양대 키워드···대표 IP 재활용·장르 다변화
지스타 2025가 44개국 1,273개사가 참가한 가운데 엔씨소프트, 넷마블 등 주요 게임사의 대표 IP 기반 신작과 다양한 장르 게임이 공개됐다. 블리자드 등 글로벌 게임사 참가와 유저와의 소통 강화로 행사는 역대급 성황을 이뤘다.
통신
KT, 차기 CEO 접수 마감···전현직·정부·전문가 등 경쟁 '치열'
KT 차기 대표이사(CEO) 공모가 16일 오후 6시에 마감되면서 출사표를 던진 다양한 후보군에 관심이 쏠린다. 구현모 전 KT 대표가 불출마를 선언한 상황에서 KT 전·현직 임원, 인공지능(AI) 분야 전문성을 갖춘 후보군이 폭넓게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대표이사 인사에서는 해킹 사고로 흔들린 신뢰를 회복하고, AI 대전환기 속에서 회사를 성장 궤도에 다시 올릴 리더여야 한다는 점에 KT의 미래 리더십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
재계
李대통령 만난 재계 총수들···美 관세 협상에 '릴레이 화답'(종합)
삼성전자와 SK, 현대차그룹, LG 등 국내 주요 그룹들이 16일 수백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투자 계획을 앞다퉈 발표했다. 한·미 관세협상 결과를 담은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 발표 이틀 만에 나온 이번 결정은 대규모 대미 투자로 자칫 국내 투자와 생산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를 불식시키고 정부의 경제정책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16일 재계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한미 '조인트 팩트시트' 도출과 관련한 후속
재계
최태원 "2028년까지 국내에 128조 투자···AI 강국 도약 견인"
SK그룹이 2028년까지 총 128조원을 국내에 투자해 AI, 에너지, 바이오 등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집중한다. SK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트리니티 팹 구축, 울산·한반도 AI 데이터센터 건립 등을 통해 반도체 및 AI 인프라를 강화하고, 국내외 협력으로 글로벌 허브 위상을 높일 계획이다.
인사/부음
[부음] 이창재(태영건설 사외이사)씨 부친상
▲이강훈 씨 별세, 이동재·이창재(태영건설 사외이사)·이명재씨 부친상 , 서울성모병원장례식장 14호실, 발인 18일 오전 6시 ☎ 02-2258-5940
게임
[지스타2025]20만 유저 찾은 韓 최대 게임쇼 성료···"꾸준히 발전할 것"
지스타 2025가 부산 벡스코에서 4일간 20만2000명의 관람객을 기록했다. 글로벌 게임사와 국내 대형 개발사가 신작을 대거 공개하고, BTC·BTB 부스 확장과 다양한 체험 행사가 호응을 얻었다. 인디 쇼케이스와 G-CON 컨퍼런스, 현장 이벤트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성황을 이뤘다.
재계
李 요청 화답한 이재용···국내에 5년간 450조 투자
삼성은 향후 5년간 연구개발(R&D)을 포함한 국내 투자에 총 450조원을 투입하는 등 공격적인 투자에 나선다고 16일 밝혔다. 반도체, 인공지능(AI) 인프라, 차세대 배터리, 디스플레이 등 핵심 산업 전반에 걸친 공격적 투자가 동시에 진행되며, 지역 균형발전과 청년 일자리 창출, 협력회사 상생 프로그램도 대폭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구체적으로 삼성전자는 최근 임시 경영위원회를 열고 평택사업장 2단지 5라인의 골조 공사를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해
자동차
현대차그룹, 2030년까지 국내 125.2조 투자한다
현대자동차그룹이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125조2000억원을 국내 모빌리티, AI, 전동화, 로보틱스, 수소 등 미래 성장동력에 투자한다. AI 데이터센터 건립과 수소 플랜트 구축 등 첨단 인프라를 강화하고, 협력사 지원과 수출 확대를 통해 산업 생태계와 국가 경제 활력 제고에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