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신
1조 번 KT·LGU+ vs 2500억 쓴 SKT··· 해킹 후폭풍 실적 명암
2024년 2분기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로 인한 고객 이탈과 2500억원의 일회성 비용 발생으로 SK텔레콤 실적이 급감했다. 반면 KT와 LG유플러스는 신규 가입자 유입과 무선매출 확대 등으로 각각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이 여파는 3분기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총 9,446건 검색]
상세검색
통신
1조 번 KT·LGU+ vs 2500억 쓴 SKT··· 해킹 후폭풍 실적 명암
2024년 2분기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로 인한 고객 이탈과 2500억원의 일회성 비용 발생으로 SK텔레콤 실적이 급감했다. 반면 KT와 LG유플러스는 신규 가입자 유입과 무선매출 확대 등으로 각각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이 여파는 3분기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에너지·화학
SK이노 임원용 차량, SK온 배터리 탑재된 현대차로 바꾼다
SK이노베이션이 ESG경영 실천과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임원 업무용 차량을 현대자동차의 전기차 모델로 전환한다. SK온은 해당 차량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으며, 충전시설 등 인프라 확대도 추진한다. 임직원 대상 전기차 구매 지원도 강화했다.
IT일반
과기정통부 "KT·LGU·네이버·카카오 해킹 흔적 없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SK텔레콤 해킹 이후 주요 통신사와 플랫폼사 40곳을 현장 점검한 결과 해킹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올해 정보보호 공시를 진행한 773개사 중 영향력이 큰 업체들을 중심으로 정보보호 검증을 확대하며, 오류 발견 시 수정 요청 등 관리 체계도 강화한다.
전기·전자
"'HBM 1위' SK하이닉스, 최악의 시나리오로···수익성 방어 총력해야"
SK하이닉스가 HBM 시장에서 경쟁사의 본격 진입으로 점유율 확대에 제약이 예상되면서, 수익성 방어에 집중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가격 경쟁보다 이익 극대화 전략이 필요하며, 공급과잉에 대한 우려는 다소 과도하다는 평가다. 영업이익은 역대 최대치이나 2026년 이후 시장 전망은 불확실하다.
종목
증시 주도권은 다시 삼성전자로···반도체株 '희비'
삼성전자가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의 협력 확대 및 차세대 HBM4 공급 기대 등으로 주가 상승세를 보이며 반도체 종목 주도권을 회복했다. 반면 SK하이닉스는 가격 경쟁 심화 우려와 단기 투자심리 위축으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외국인 투자자 매수세도 삼성전자에 집중되었고, 증권가는 삼성전자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다.
에너지·화학
ESS 1차 입찰 삼성SDI 압승···2차 수주전 초읽기
정부가 발주한 2025년 ESS 입찰에서 삼성SDI가 전체 물량 중 약 80%를 수주해 경쟁사들을 압도했다. 가격 경쟁력뿐 아니라 국내 생산 역량이 비가격 평가에서 큰 영향을 미쳤으며, 향후 2차 입찰에서도 국내생산 비율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에너지·화학
SK이노베이션 E&S, 대치동 '코원에너지' 부지 5050억원에 매각
SK이노베이션 E&S 산하 코원에너지서비스가 서울 강남구 대치동 본사 부지와 건물을 NH투자증권·한국토지신탁·호반건설 컨소시엄에 5050억원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관련 절차는 9월까지 매매계약 체결, 12월 소유권 이전 완료로 진행될 예정이다.
기자수첩
[기자수첩]개보위 'SKT 해킹' 처분, 4개월 만에 결정···신속보다 신중 필요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에 대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과징금 결정을 내릴 전망이다. 과거 유사 사건보다 심사 기간이 훨씬 짧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SK텔레콤은 실질 피해가 거의 없고, 대규모 보상과 보안 투자 등에 힘쓰고 있어 감경 사유도 함께 고려돼야 한다.
에너지·화학
"배터리 살려라"···SK, SK온에 5조 쏟고 또 2조 유증
SK이노베이션이 전기차 배터리 자회사 SK온의 경영 정상화 및 성장성 강화를 위해 최근 3년간 7조485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와 자본 확충에 나섰다. SK온과 SK엔무브, SK아이이테크놀로지 등 계열사 합병 및 투자로 수익성, 재무안정성, 기업가치 제고를 추진 중이다.
제약·바이오
7분기 적자 SK바이오사이언스, GBP410 임상·IDT 성장으로 전환 모색
SK바이오사이언스가 7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며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고 있다. 코로나19 백신 수요 감소와 IDT 바이오로지카 매출 의존이 구조적 한계로 지적되는 가운데, GBP410 등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과 계절성 백신 매출 증가를 통해 하반기 실적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