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신
LG헬로비전, 2분기 영업익 105억원···전년比 41.7% ↑
LG헬로비전은 올해 2분기 매출 3541억원, 영업이익 105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4.9%, 41.7% 성장했다. 렌탈 서비스와 교육청 단말기 사업이 주요 성장을 견인했고, MVNO(알뜰폰) 및 통신 부문 매출도 증가했다. 경영 효율화와 비용 절감으로 수익성이 개선됐으며, 미디어·B2B 사업 및 오리지널 콘텐츠 투자도 성과에 기여했다.
[총 10,466건 검색]
상세검색
통신
LG헬로비전, 2분기 영업익 105억원···전년比 41.7% ↑
LG헬로비전은 올해 2분기 매출 3541억원, 영업이익 105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4.9%, 41.7% 성장했다. 렌탈 서비스와 교육청 단말기 사업이 주요 성장을 견인했고, MVNO(알뜰폰) 및 통신 부문 매출도 증가했다. 경영 효율화와 비용 절감으로 수익성이 개선됐으며, 미디어·B2B 사업 및 오리지널 콘텐츠 투자도 성과에 기여했다.
에너지·화학
에스테틱도 판다···LG화학, 석화 부문 2분기도 적자 지속(종합)
LG화학이 올해 2분기 전년대비 성장한 영업이익을 거뒀다. 다만 이같은 성적은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의 실적 개선 영향이 컸다. 석유화학 부문의 경우 4분기 연속 적자를 지속했다. LG화학은 7일 올해 2분기 실적발표를 통해 해당 기간 매출액이 11조4177억원, 영업이익이 476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6.7%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21.5% 증가했다. 전분기 대비로는 매출은 5.8%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8.9% 증가한 실적이다. 차동석
에너지·화학
LG화학, 에스테틱 사업 매각···"포트폴리오 조정"
LG화학이 7일 이사회에서 에스테틱 사업을 국내 사모펀드 운용사 VIG파트너스에 2000억원에 양도하기로 결정했다. 양도가액은 연결 자기자본의 0.42% 수준이다. 이번 사업 매각은 포트폴리오 조정과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해석된다.
에너지·화학
LG화학, 2분기 영업이익 4768억원···전년대비 21.5%↑
LG화학은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11조4177억원, 영업이익 4768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7%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21.5% 증가했다. 석유화학은 적자가 지속됐으나 첨단소재와 생명과학, 에너지솔루션이 수익성을 견인했다. 3분기 북미 ESS 등 주요 사업의 성장과 미래 수요 확보 전략이 주목된다.
패션·뷰티
에이피알 돌풍···K뷰티 '빅3' 희비 갈린 2분기
K뷰티 수출이 올해 상반기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국내 화장품 업계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에이피알이 2분기 실적과 시가총액에서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을 제치고 업계 1위로 부상했으며, 글로벌 시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반면 LG생활건강은 적자 전환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전기·전자
부서 신설에 업무 활용까지···AI 기업 변신한 삼성·LG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인공지능(AI) 도입을 가속화하고 있다. 삼성은 이노X랩 및 생산성 혁신 조직 신설 등으로 업무 효율과 신시장 개척에 나서며, LG는 최고확산책임자 도입과 자체 AI 시스템 '찾다'로 AX 전환에 힘을 싣고 있다. 양사는 HVAC, 반도체 등 AI 기반 신사업도 적극 추진 중이다.
에너지·화학
프리미엄 OLED, TV 시장 '캐즘' 극복에 나선다
OLED TV가 스마트폰·노트북과 달리 TV 시장에서 정체를 겪는 가운데, LG디스플레이는 프리미엄 전략으로 돌파구를 찾고 있다. LCD TV의 가격 경쟁과 중국 BOE의 LCD 집중으로 OLED 시장이 위축되고 있으나, AI와 플렉서블 등 신기술로 재도약을 모색 중이다.
종목
[특징주]LG CNS, 맥쿼리 지분 5.6% 블록딜···주가 4%대 급락
LG CNS의 2대 주주인 맥쿼리자산운용이 보유 지분 중 5.6%를 약 3478억원 규모로 블록딜 방식 매각해, LG CNS 주가가 장 초반 최대 4% 가량 급락했다. 주당 매각가는 종가 대비 8.4% 할인된 6만4400원으로 정해졌으며, 맥쿼리는 이번 거래로 원금 이상을 회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기·전자
"5일 걸리던 걸 8시간 만에"···LGD, AX로 생산성 30% 향상 노린다(종합)
LG디스플레이가 올해를 AX(AI TRANSFORMATION, AI 전환) 혁신의 원년으로 삼고 개발부터 생산, 사무 등 사업 전 영역 전반에 AI를 적용해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특히 강화된 AX 도입으로 3년 내 업무 생산성을 30% 향상시키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LG디스플레이는 5일 'AX 온라인 세미나'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LG디스플레이는 AX 확산을 통해 디스플레이 산업의 핵심 경쟁력인 적기 개발, 수율, 원가 등에서 생산성을
전기·전자
LG디스플레이, AX로 '생산성 혁신' 경쟁력 강화한다
LG디스플레이가 사업 전 영역 전반에 AI를 적용하는 AX(AI TRANSFORMATION, AI 전환)를 확산하며 '생산성 혁신'을 통한 근본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LG디스플레이는 5일 올해를 AX 혁신의 원년으로 삼고 개발부터 생산, 사무에 이르는 모든 사업 영역에 자체 개발한 AI를 적용, AX를 확산해나가겠다고 밝혔다. LG디스플레이는 이미 지난해 AI 생산 체계를 도입했고 생산성 향상에 따라 약 2000억원 이상의 수익성 개선
+ 새로운 글 더보기